소상공인 매출 부진으로 지역신보가 대신 변제한 은행 빚 1조원 돌파

정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4-07-02 09:26:36
  • -
  • +
  • 인쇄
-복합 경제 위기로 빚을 갚지 못하는 소상공인이 대폭 늘면서 폐업 증가
▲ 사진=소상공인 ⓒ데일리매거진DB

 

지역신용보증재단(이하 지역신보)이 대신 변제한 은행 빚이 1조원을 돌파했다.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의원이 신용보증재단중앙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5월 지역신보 대위변제액은 1조29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4.1% 급증했다.

대위변제는 소상공인이 은행에서 대출받을 수 있도록 보증해준 지역신보가 소상공인 대출을 대신 갚아준 것이다.

대위변제액은 2021년 4천303억원에서 2022년 5천76억원으로 소폭 늘었다가 지난해 1조7천126억원으로 폭증했다.

대위변제액은 지난해 껑충 뛰었으나 올해 들어서도 70% 넘게 급증했다.

올해 대위변제액을 지역별로 보면 경기가 2천307억원으로 가장 많고 서울(1천958억원)과 부산(841억원), 경남(782억원), 인천(620억원), 경북(599억원), 대구(545억원) 등 순이다..

소상공인 코로나19를 겪으며 대출을 늘렸고 시간이 지나며 상환 시기가 도래했지만, 아직 은행 빚을 갚을 여력을 회복하지 못한 것이다.

한국신용데이터의 '1분기 소상공인 경영지표'를 보면 소상공인 평균 매출은 4천317만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7.7% 줄었고 영업이익은 915만원으로 23.2% 감소했다.

소비 부진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회복되지 못했고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3고'(高)와 전기요금, 인건비, 임대료 인상 등으로 손에 쥐는 금액이 줄어든 것이다.

실제로 이런 복합 요인 때문에 한계 상황에 몰려 문을 닫는 소상공인이 늘고 있다.
 

▲ 연도별 지역신보 대위변제액 추이 (단위: 건, 억원, %)

지난 1∼5월 '폐업' 사유로 소상공인에게 지급된 노란우산 공제금은 6천577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8.3% 늘었다.

노란우산은 소기업·소상공인 생활 안정과 노후 보장을 위한 공제 제도로 소상공인에게는 퇴직금 성격의 자금이어서 가급적 깨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노란우산 폐업 공제금은 2020년 7천300억원에서 2021년 9천억원, 2022년 9천700억원에 이어 지난해(1조2천600억원) 처음 1조원을 돌파했고 올해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소상공인 경영 애로는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소상공인의 7월 전망 경기지수(BSI)는 57.9로 전달보다 9.5포인트 내렸다.

전통시장 7월 전망 BSI도 47.6으로 15.4포인트 하락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