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일용직을 첫 일자리로 시작한 청년의 비중…역대 최대 30% 넘겨

정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4-07-22 11:25:47
  • -
  • +
  • 인쇄
-계약기간 1년 이하의 임금근로 일자리였던 청년은 118만1천명으로 31.4% 차지
▲ 사진=지난 19일 인천 연수구 IBS 타워에서 열린 인천 관광 일자리 페스타를 찾은 구직자들 [제공/연합뉴스]

 

청년들의 첫 일자리가 계약 기간 1년 이하의 단기인 비중이 처음 30%를 넘겨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학교를 졸업하거나 도중에 그만둔 뒤 취업한 경험이 있는 청년(15∼29세) 376만5천명 가운데 첫 일자리가 계약기간 1년 이하의 임금근로 일자리였던 청년은 118만1천명으로 31.4%를 차지했다.

작년보다 2.4%포인트(p) 높아진 것으로, 관련 통계가 공표된 2008년 이후 역대 가장 높다.

10년 전인 2014년 5월(19.5%)과 비교하면 비중은 11.9%p 높아졌다.

이는 임시·일용직을 첫 일자리로 시작한 청년의 비중이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계약 기간 1년은 상대적으로 양질의 일자리인 상용직과 임시·일용직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쓰인다.

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이면 상용직, 1개월 이상 1년 미만이면 임시직, 1개월 미만이면 일용직으로 분류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청년층 임시직이 계속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계약 기간을 정하지 않은 일시적 임금근로 일자리의 비중은 7.7%였다.  

 

▲ 2024년 5월 경제활동인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 [제공/통계청]

일시적 일자리에는 아르바이트 등이 해당한다.

일시적 일자리까지 고려하면 단기 일자리로 상대적으로 불안한 지위에 있는 일자리 비중이 39.0%에 달하는 셈이다.

이는 2021년 5월(40.4%)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큰 비중이다.

10년 전과 비교해 비중이 7.3%p 높아졌다.

계약 기간이 1년이 넘는 임금근로 일자리가 청년의 첫 일자리인 경우는 5.8%였다.

계약 기간을 정하지 않았으나, 계속 근무가 가능한 일자리는 52.6%였다.

두 일자리의 비중(58.4%)은 10년 전과 비교해 6.7%p 낮아졌다.

상대적으로 안정된 지위라 볼 수 있는 일자리 비중은 낮아지고 불안정한 일자리 비중은 높아진 것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