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제공/연합뉴스] |
서울지역의 아파트값이 1년여 만에 상승 전환했다.
25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0.03% 상승해 지난해 5월 첫주(0.01%) 이후 1년여 간의 하락을 멈추고 상승 전환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작년 5월 첫주 0.01% 올랐으나 이후 보합을 유지하다 5월 말 조사에서 0.01% 떨어진 뒤 금리 인상, 거래 절벽 여파로 지난주까지 51주 연속 하락했다.
그러나 올해 초 강남 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전역이 규제지역에서 풀리고, 대출·세제·재건축 등 각종 규제 완화 정책 시행으로 거래가 조금씩 늘기 시작하면서 낙폭이 줄고, 최근들어서는 강남권을 중심으로 호가도 상승 전환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3천155건으로 3천건을 넘어섰다.
예년 평균인 5천∼6천건에는 못미치지만 2021년 8월(4천65건) 이후 1년 8개월 만에 최다 거래량이다.
이로 인해 급매물이 소진되며 상승 거래 지역도 늘고 있다.
직방에 따르면 올해 4월 서울 아파트 거래에서 상승 거래 비중은 46.1%, 하락 거래는 39.5%로, 작년 4월 이후 1년 만에 상승 거래가 하락 거래를 역전했다.
강남권이 상승세를 주도했다. 송파구는 지난주 0.11%에서 이번주 0.26%로 오름폭이 크게 뛰었다.
잠실·가락동 등 대단지 아파트에서 급매물이 소진된 후 호가가 상승한 매물들도 속속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인천은 송도국제도시 등 대단지 아파트 위주로 거래가 늘면서 지난주(0.03%)에 이어 이번주에도 0.02% 올라 2주째 상승했다.
다만 경기도는 0.06% 내려 지난주(-0.02%)보다 낙폭이 커졌다.
반도체 특수를 누리고 있는 용인 처인구(0.32%)를 비롯해 용인시가 0.03% 상승했고 화성(0.15%), 광명(0.08%) 등지도 강세가 이어졌다.
이에 비해 평택은 4주째 이어진 상승세를 멈추고 이번주 0.04% 하락했다.
지방에선 세종(0.19%)의 상승세가 지속된 가운데 전국 아파트값은 -0.05%로 지난주 수준을 유지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