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농축산물 가격 안정 위해 '농식품 수급 및 유통구조 개혁 TF' 가동

정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5-06-19 10:34:39
  • -
  • +
  • 인쇄
-식품업계와 협의해 가격 인상 품목과 인상률을 최소화
-인상 시기를 분산하거나 할인 행사를 하는 방안 마련
▲ 사진=대형마트에 진열된 계란 [제공/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가 물가 안정을 위해 식품 가격 인상 품목과 인상률 최소화 방안을 추진한다.

농식품부는 '농식품 수급 및 유통구조 개혁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해 농축산물 수급 안정을 위한 세부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TF를 통해 유통 구조에 경쟁 제한적인 요소가 있는지 보고, 개선이 필요한 불합리한 관행이나 제도가 있는지 전문가와 관계 기관이 모여 논의할 것"이라며 "농가나 생산 현장에서 생산성을 높이는 방안이 있는지도 TF에서 같이 논의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소비자에게 공공 배달앱 소비 쿠폰을 지원해 소비를 활성화하고 중소·중견 식품 기업의 경영 부담을 덜기 위해 국산 농산물 구매 자금 200억원도 추가경정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최근 산란계협회의 고시가격 인상과 소비 증가로 가격이 오른 계란도 생산을 늘려 가격 안정을 유도할 계획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달 평균 계란 소비자 가격은 특란 한 판(30개)에 7천26원으로, 지난 2021년 7월 이후 4년 만에 7천원을 넘었다.

농식품부는 계란 가격은 휴가철 소비 감소와 병아리 입식 확대에 따른 생산량 증가로 점차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가격 안정을 위해 산란계 생산 기간을 평균 84주령에서 87주령으로 늘리고, 생산자 단체와 협의해 산란계에 비타민과 영양제를 투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수요 분산과 가공식품 물가 안정을 위한 계란 가공품 할당 관세 적용 물량도 현재 4천t(톤)에서 1만t으로 확대하고, 자조금을 활용해 일부 대형마트의 계란 납품 단가 인하도 추진한다.

계란의 생산 기반 확대를 위한 시설 투자 지원 예산 144억원도 이번 추경안에 반영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또 계란 산지 가격 조사·발표 체계를 축산물품질평가원으로 일원화하는 등 거래 관행을 개선하고, 계란 생산 기반 확대를 위한 관련 단체·업계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정부의 산란계 사육 면적 기준 확대로 계란의 산지 가격이 뛰고 있다는 대한산란계협회 측 주장에 대해 "기존에 산란계를 키우던 농가를 대상으로 7년간 (새 기준 적용을) 유예해온 상황"이라며 "사육 케이지 면적 확대 때문에 산지 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