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 25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1/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주요 내용 설명 [제공/연합뉴스] |
올해 1분기 가계의 명목소득은 늘었지만, 물가 상승에 실질소득은 제자리걸음 했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분기 가계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구당 월 평균 소득은 505만4천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다.
다만 물가를 고려한 1분기 실질소득은 작년 동기와 같았다.
실질소득은 지난해 3분기 -2.8%, 4분기 -1.1%의 상승률을 기록한 데 이어 3개 분기 연속으로 늘어나지 못했다.
가구 실질소득이 3개 분기 이상 정체·감소한 것은 2015년 3분기∼2017년 3분기 중 9개 분기 연속 감소 이후 처음이다.
명목소득 증가율이 4.7%에 달했지만, 물가가 그만큼 오르면서 가계의 실질적인 삶은 제자리에 머문 셈이다.
다만 추세상 실질소득이 회복 흐름을 보인다는 점은 긍정적 요인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4개월 만에 3%대(3.7%)로 떨어진 것을 고려하면 회복세는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
기획재정부도 실질소득이 감소에서 보합(0.0%)으로 전환된 데에 의미를 부여했다.
가구당 명목소득을 항목별로 보면 근로소득이 332만6천원으로 8.6% 증가했고, 사업 소득은 80만4천원으로 6.8% 감소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근로소득 증가가 총소득을 견인했지만, 사업소득은 감소했다"며 "인건비와 원자잿값, 이자 등 사업비용 상승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가구당 월평균 지출은 388만5천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11.1% 늘었다.
소비지출은 282만2천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11.5% 증가했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 소비지출은 6.4% 늘었다.
품목별로 보면 음식·숙박(21.1%)과 교통(21.6%), 오락·문화(34.9%) 지출이 대폭 증가했다.
주거·수도·광열(11.5%) 지출도 크게 늘었다. 특히 전기요금·가스요금 등 냉난방비가 포함된 연료비 지출이 23.5% 늘어 역대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