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대기업들, 대규모 투자 계획 잇달아 발표…삼성 450조, 현대차 63조, 롯데 37조, 한화 37조

이재만 기자 / 기사승인 : 2022-05-25 09:24:07
  • -
  • +
  • 인쇄
-새정부 출범이후 삼성·현대차·롯데·한화 4개 그룹이 발표한 액수만 약 600조원
-SK도 조만간 대규모 투자·고용 계획 발표 앞둬
▲ 사진=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제공/연합뉴스]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윤석열 정부 출범 보름째인 24일 대규모 투자 계획을 잇달아 발표했다.

삼성·현대차·롯데·한화 4개 그룹이 발표한 액수만 약 600조원에 달한다.

이는 3년, 5년 단위의 총투자 액수를 합친 것이긴 하지만 작년 12월 국회를 통과한 올해 본예산 607조7천억원에 맞먹는 수준이다.

대기업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투자 보따리를 푼 것은 윤석열 정부의 핵심 경제 기조인 '민간 주도 성장'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기업들은 '신(新)기업가정신' 선포일인 이날 약속이라도 한 듯 대규모 투자 계획을 내놓으면서 '국내 투자' 부분을 강조했다.

일각에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현대차 등이 미국에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한 데 대해 '국내 투자는 상대적으로 소홀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의식한 행보라는 해석도 나온다.

삼성은 이날 올해부터 향후 5년간 반도체·바이오·신성장 IT(정보통신) 등 미래 먹거리 분야에 관계사들이 함께 450조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면서 450조원 가운데 80%인 360조원은 '국내 투자'임을 강조했다.

삼성은 "선제적 투자와 차별화된 기술력, 새로운 시장 창출로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을 주도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투자 배경을 설명했다.

삼성은 다음 달 미국 테일러시에 170억달러(약 20조원)가 투입되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 착공을 앞두고 있다.
 

▲ 사진=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제공/연합뉴스]

현대차그룹 산하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등 3사도 2025년까지 3년여간 국내에 63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들 3사는 "대규모 투자를 국내에 집중함으로써 '그룹의 미래 사업 허브'로 한국의 역할과 리더십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바이든 대통령 방한 기간인 지난 21∼22일 미국 조지아주의 전기차 전용 공장 및 배터리셀 공장 설립과 로보틱스·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도심항공모빌리티(UAM)·인공지능(AI) 등의 분야에 대한 총 105억달러(약 13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롯데그룹은 바이오와 모빌리티 등 신사업 중심으로 5년간 국내 사업에 37조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롯데 투자 중 41%는 신사업과 건설, 렌탈, 인프라 분야에 집중된다.

한화그룹도 올해부터 2026년까지 5년간 에너지, 탄소중립, 방산·우주항공 등의 분야에 국내 20조원을 포함해 총 37조6천억원을 투자한다고 공개했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5년간 2만명 이상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들 4개사가 이날 발표한 투자액은 총 587조6천억원이다.

SK그룹도 조만간 투자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이날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열린 신기업가정신 선포식에서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SK도 곧 투자·고용 발표가 나갈 것 같다"고 말했다.

LG그룹도 현재 투자 계획을 가다듬고 있으며, 이르면 이번 주 내 발표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