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과 거래 침체 여파로…서울 아파트값 3년 7개월 만에 큰 폭 하락

이재만 기자 / 기사승인 : 2022-09-02 09:32:49
  • -
  • +
  • 인쇄
-수도권 전체 아파트값도 지난주 -0.18%에서 금주 -0.20%로 더 많이 떨어져
▲ 사진=서울 시내 아파트 [제공/연합뉴스]

 

수도권 아파트값 하락폭이 확대된 가운데 서울은 3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8월 26일 조사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13% 하락했다.

지난주 0.11% 떨어진 것에 비해 낙폭이 커진 것이면서 2019년 1월 28일(-0.14%) 조사 이후 주간 변동률로는 가장 크게 하락한 것이다.

한국은행이 지난주 0.25%포인트(p)의 금리 인상을 단행한 데다 연말까지 추가 인상을 예고하면서 집값 하락세가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강남구와 송파구의 아파트값이 각각 0.06%, 0.12% 떨어지면서 지난주(-0.04%, -0.12%)보다 낙폭이 커졌고, 서초구는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2% 하락했다.

또 강북지역 중저가 아파트가 몰린 노원구(-0.25%), 도봉구(-0.27%), 강북구(-0.20%) 등도 거래가 끊기면서 지난주보다 하락폭이 확대됐다.

경기도와 인천은 각각 0.21%, 0.29% 떨어져 지난주보다 낙폭이 커졌다.

이에 따라 수도권 전체 아파트값도 지난주 -0.18%에서 금주 -0.20%로 더 많이 떨어졌다.

화성시 아파트값이 0.34%, 광명시가 0.33% 각각 내리는 등 지난해 집값 상승폭이 컸던 지역에서 하락세가 가팔랐다.

의왕시 아파트값은 이번주 0.32% 떨어졌고 오산시는 0.28%, 하남시는 0.27%, 수원시는 0.23% 각각 하락했다.

이에 비해 정부가 수도권 1기 신도시 재정비 사업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히면서 성남시 분당구의 아파트값은 -0.12%로 지난주(-0.13%)보다 낙폭이 일단 다소 축소됐다.

일산신도시가 있는 고양시도 지난주 -0.12%에서 -0.11%로 하락폭이 줄었다.

전국적으로는 그간 상승세를 보이던 전북이 -0.01%로 하락 전환됐고, 강원 역시 2주 전에 이어 다시 0.02% 떨어지면서 전국 17개 광역시·도가 일제히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전국 아파트값도 이번주 0.15% 하락하면서 지난주(-0.14%)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