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지하철 6년만에 파업 돌입…최종 교섭 결렬 선언

정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2-11-30 08:16:55
  • -
  • +
  • 인쇄
-서울시, 대체인력 투입으로 출근 시간대 정상운행 방침
▲ 사진=서울 지하철 파업 [제공/연합뉴스]

 

서울교통공사의 노동조합이 예고한 대로 30일 오전 6시30분부터 서울 지하철이 파업으로 운행을 중지했다.

양대 노조(서울교통공사노조·통합노조)로 구성된 연합교섭단과 사측은 29일 오후 10시 최종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노사는 이날 오후 2시 서울 성동구 본사에서 전날 중단한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협상을 재개했으나 이견이 좁혀지는 못해 결국 본교섭을 속개하지 못하고 만장일치로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사측은 핵심 쟁점이던 인력 구조조정(2026년까지 1천539명 감축) 시행을 올해 유보하고, 내년 상반기 안에 기존 합의 사항인 장기 결원 인력 충원과 승무 인력 증원을 시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사측의 협상안을 받아들지를 놓고 민주노총 소속인 서울교통공사노조와 한국노총 소속인 통합노조는 막판까지 의견 차이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김정섭 서울교통공사노조 교선실장은 "사측이 올해에만 인력 감축안을 유보한다고 밝힌 것은 작년 9월 '강제 구조조정을 하지 않는다'고 명문으로 합의한 내용보다 후퇴한 것으로 판단해 연합교섭단 만장일치로 수용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서울교통공사노조는 30일 오전 10시 40분 서울시청 서편에서 조합원 6천여명이 참여하는 총파업 출정식을 연다.

이 자리에서 오세훈 시장에게 직접 교섭에 나설 것을 요구할 계획이다.

서울교통공사 노조의 파업은 1∼8호선 기준으로 2016년 9월 이후 6년 만이다.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1∼8호선과 9호선 2·3단계를 운영한다.

파업에 따른 열차 지연 등으로 빚어질 수 있는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서울시는 대체 인력을 투입, 운행 차질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