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아이폰14 시리즈의 올해 생산목표 예정보다 300만대 이상 감축 계획

안정미 기자 / 기사승인 : 2022-11-08 09:34:17
  • -
  • +
  • 인쇄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에서 크게 부진
-아이폰14와 아이폰14 플러스 등 저가형 모델의 수요가 줄어든 데 따른 것
▲ 사진=애플의 신제품 아이폰14 시리즈 [제공/연합뉴스]

 

애플이 아이폰14 시리즈의 올해 생산목표를 당초 예정보다 300만대 이상 감축할 계획이라고 연합뉴스가 7일 보도했다.

애플과 협력업체들은 아이폰14 시리즈의 올해 생산 목표량을 애초 9천만대에서 8천700만대 이하로 축소했다고 전했다.

이 같은 감축의 1차 요인은 아이폰14와 아이폰14 플러스 등 저가형 모델의 수요가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저가형 모델의 판매는 출시 직후부터 급속히 가라앉았으며, 특히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에서 크게 부진했다고 미국 투자은행(IB) 제프리스가 분석했다.

아이폰의 핵심 조립생산 시설이 있는 중국 정저우가 코로나19 감염 확산으로 일주일째 봉쇄되면서 조업 차질이 빚어진 것도 생산량 축소의 요인이 됐다.

일본 SMBC 닛코 증권도 지난 4일 아이폰의 올해 생산량 전망치를 종전 9천100만대에서 8천500만대로 하향 조정하고, 고급형 모델의 생산은 늘지만 저가형의 감소 폭이 그보다 클 것으로 관측했다.

애플도 아이폰14의 수요가 예상과 달리 부진을 보이자 애초 준비했던 600만대 추가 생산계획을 취소한 바 있다.

애플은 앞서 지난 6일 성명을 통해 중국의 코로나19 규제로 정저우의 아이폰 생산공장 가동이 일부 중단되면서 고급 모델인 아이폰14 프로와 아이폰14 프로맥스의 생산 차질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애플은 "두 제품의 출하량이 예상보다 줄 것으로 예상된다"며 "고객들은 새 제품을 받기 위해 더 긴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모든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면서 생산수준이 정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공급업체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애플은 그러나 어느 정도 물량이 제때 공급되지 못하는지 등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애플은 다만 고급 모델의 수요는 여전히 강하다고 강조했다.

애플 협력업체인 대만 폭스콘은 아이폰 최대 생산업체로서 폭스콘 정저우 공장은 아이폰14 시리즈의 80%를, 아이폰14 프로의 85% 이상을 각각 생산한다.

지난 9월 출시된 아이폰14 시리즈는 향후 최소 1년간 애플의 실적을 견인할 주력 상품이다.

연말 대목을 앞두고 한창 판촉에 나서야 하는 시기에 출시 두 달도 안 돼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애플 매출에 타격이 예상된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