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현대경제연구원 로고 [제공/연합뉴스] |
고물가와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 정부가 경제 정책 목표를 물가안정에서 '경기 침체 방어'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도 함께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4일 발표한 '물가 정점 통과와 다가오는 경기 침체'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7%로, 전월(6.3%)보다 하락했다는 점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7월에 정점을 통과했다고 진단했다.
연구원은 세계 경제가 팬데믹 지속,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침체 국면에 돌입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수출 경기 하강 우려가 커졌다고 지적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 7월 보고서에서 세계 경제성장률이 올해 3.2%, 내년 2.9%로, 국제 교역 증가율은 올해 4.1%, 내년 3.2%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원은 "세계 경제와 국제 교역이 침체 국면에 빠지게 되면, 한국의 수출 경기 하강은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이어 "아직은 수출이 증가세를 유지하며 경제의 안전판 역할을 하고 있으나, 수출단가 요인이 약화하는 하반기 이후에는 내수와 수출이 모두 침체하는 복합불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360원선을 돌파하는 등 급등한 상황에서 수입 물가에 상승 압력을 가해 내수 침체를 유발할 수 있는 점도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고금리·고물가 상황에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약화돼 소비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점도 우려된다고 연구원은 밝혔다.
![]() |
▲ 사진=서울 서초구 농협유통 하나로마트 양재점 [제공/연합뉴스]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