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6대 첨단산업 수출시장 점유율… 4년 새 25%가량 감소

이재만 기자 / 기사승인 : 2024-01-22 10:27:56
  • -
  • +
  • 인쇄
-경총이 발표한 '6대 첨단전략산업 수출시장 점유율 분석' 보고서
-2018년 8.4%에서 2022년 6.5%로 25.5% 하락
▲ 사진=부산항 컨테이너 야적장 [제공/연합뉴스]

 

한국의 6대 첨단산업의 수출시장 점유율이 4년 새 25%가량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21일 발표한 '6대 첨단전략산업 수출시장 점유율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6대 국가첨단전략산업 수출시장 점유율은 2018년 8.4%에서 2022년 6.5%로 25.5% 하락했다.

경총은 일반 변화율 공식을 적용하면 하락률은 22.6%지만, '로그 차분' 방식을 이용한 결과 하락률이 25.5%로 도출됐다고 설명했다.

6대 국가첨단전략산업이란 정부가 지난해 3월 발표한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에서 언급된 ▲ 반도체 ▲ 디스플레이 ▲ 이차전지 ▲ 미래차 ▲ 바이오 ▲ 로봇을 말한다.

수출시장 점유율은 한 국가의 수출이 세계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수출경쟁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경총에 따르면 지난 2022년 한국의 6대 첨단산업 수출액은 총 1천860억달러로, 2018년 1천884억달러 대비 1.2% 감소했다.

한국의 전체 산업 수출에서 6대 첨단산업 수출이 차지하는 비율도 같은 기간 31.1%에서 27.2%로 줄었다.
 

▲ 사진=2018∼2022년 첨단 6대 산업 수출시장 점유율 [제공/한국경영자총협회]

특히 수출시장 점유율은 25.5% 떨어졌는데, 경쟁국인 중국(-2.7%), 미국(-1.3%)보다 하락 폭이 컸다.

대만(31.8%)과 독일(4.6%)의 수출시장 점유율은 오히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2022년 6대 첨단산업 수출시장 점유율 순위에서 한국은 중국(14.1%), 독일(8.3%), 대만(8.1%), 미국(7.6%)에 이어 5위에 랭크됐다.

중국 다음으로 2위를 차지한 2018년에 비해 3단계 아래로 내려간 것이다.

경총은 2018년 대비 2022년 전 세계 6대 첨단산업 총수출은 24.2% 늘었지만, 한국 6대 첨단산업의 수출은 1.2% 줄면서 결국 수출시장 점유율 감소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수출 규모가 가장 큰 반도체의 수출시장 점유율은 같은 기간 13.0%에서 9.4%로 32.5% 하락했다.

순위는 중국(15.7%), 대만(15.4%)에 이어 3위였다.

세계 반도체 수출이 같은 기간 31.8% 증가했는데도 한국의 반도체 수출은 감소(1천293억달러→1천285억달러)하면서 수출시장 점유율 하락으로 이어졌다는 게 경총의 분석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