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8월 마지막주(-0.22%) 조사 이후 10년1개월여 만에 최대 하락
-집값 하락이 본격화하며 매수세는 자취를 감추고, 종전 거래가보다 싼 매물 늘
 |
▲ 사진=서울 아파트 단지 [제공/연합뉴스] |
서울이 아파트값은 10년1개월여 만에, 수도권과 전국 아파트값은 2012년 5월 시세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13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이번주(10일 조사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22% 떨어졌다.
지난주(-0.20%)보다 낙폭이 커진 것이면서, 2012년 8월 마지막주(-0.22%) 조사 이후 10년1개월여 만에 최대 하락이다.
이번주는 지난 12일 단행된 한국은행의 '빅스텝'(기준금리 0.5%p 인상)이 사전 예고된 가운데 집값 하락이 본격화하며 매수세는 자취를 감추고, 종전 거래가보다 싼 매물이 늘었다.
부동산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13일 현재 서울 아파트 매물은 6만1천715건으로, 일주일 전에 비해 2.4%, 한 달 전에 비해 7.0%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노원·도봉구 아파트값은 이번주 각각 0.40% 떨어지며 큰 폭의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노원구 아파트값은 2012년 6월 마지막주(-0.48%) 이후, 도봉구는 2013년 2월 둘째주(-0.62%)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강남권에서는 송파구가 지난주 -0.27%에서 이번주 -0.31%로, 강남구는 -0.13%에서 -0.15%로 낙폭이 확대된 반면, 서초구는 -0.07%에서 -0.05%로 하락폭이 둔화했다.
 |
▲ 시도별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제공/연합뉴스] |
경기도와 인천 아파트값도 0.30%, 0.38% 하락하며 지난주(-0.26%, -0.31%)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이에 따라 수도권 전체 아파트값이 0.28% 떨어지며 2012년 5월 한국부동산원의 시세 조사 이래 10년5개월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경기도에서는 광명시 아파트값이 0.44% 떨어지며 지난주(-0.40%)보다 낙폭이 확대됐고, 김포(-0.43%), 화성(-0.35%), 안산(-0.33%), 시흥(-0.32%) 등지도 약세가 이어졌다.
지방은 최근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 해제에도 불구하고 하락폭이 다시 커졌다.
지난주 -0.39%로 낙폭이 다소 줄었던 세종시 아파트값은 이번주 0.45% 떨어지며 다시 하락폭이 확대됐다.
대구(-0.26%), 부산(-0.20%), 대전(-0.31%) 등 주요 지방 광역시 아파트값도 지난주보다 더 많이 떨어졌다.
이에 따라 전국 아파트값은 0.23% 내리며 지난주(-0.20%)보다 낙폭이 0.3%포인트(p) 커졌다.
역시 2012년 5월 부동산원의 시세 조사 이래 역대 최대 하락폭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