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 |
"지난해 반도체 산업에 1만 명 넘는 인원이 채용됐지만, 그중 실제로 전공 교육을 받은 인력은 20%도 채 되지 않습니다. 이들이 채용되면 현장에 바로 투입되기가 어렵고 재교육을 해야 하죠."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장인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최근 한양대 종합기술연구원(HIT)에서 매년 1만 명 이상의 반도체 전문 인력을 학부에서 양성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교수는 "현재 반도체 전문학과, 전자 전공, 반도체 전공 트랙 등을 거친 반도체 전공자가 해마다 3천648명가량 공급되고 있는데, 실제 반도체 대기업 및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업체에서 필요한 인력은 9천627명 이상"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대만의 경우 10년 전부터 반도체 인재 육성 정책을 펼치면서 반도체 전문 교육을 받은 인력이 해마다 1만 명 이상 공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반도체 산업의 안보·전략적 가치를 강조한 가운데 정부는 2031년까지 반도체 인재 15만 명을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를 두고 '방향은 맞지만, 세부적인 정책이 빠져있다'고 박 교수는 지적했다. 반도체 학과를 신·증설하려면 학생 대 교수의 비율인 전임교원 강의 비율을 충족해야 하는데 문제는 국내에 반도체 전공 교수가 적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반도체 산업이나 기업에서 퇴직하는 인력을 활용해 초빙교수나 겸임교수로 채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교수 신규 채용 시 인건비가 드는 데다 교육에 필요한 반도체 기자재 역시 고가인데, 현재 등록금이 동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등록금만으로는 현실적으로 해결하기 쉽지 않다"며 "정부가 예산을 확보해 인건비, 교육 기자재 지원을 통해 전공 프로그램을 내실화할 방안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 사진=반도체 산업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