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금융당국, 소상공인 전환 대출 지원 [제공/연합뉴스] |
자영업자·소상공인을 위해 마련한 '코로나19 경제회복 특례보증' 등 맞춤형 금융지원이 25일부터 시행된다.
금융위원회는 24일 자영업자·소상공인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재기를 지원하기 위해 향후 2년간 41조2천억원 규모의 맞춤형 정책자금을 공급하겠다고 밝히면서, 주요 궁금증에 대한 답변을 공개했다.
정부는 먼저 자영업자·소상공인 금융지원 방안을 추진하는 배경에 대해 "코로나19 기간 중 자영업자·소상공인의 업황이 크게 악화했다"며 "코로나19 조치를 정상화하고 자영업자·소상공인의 일상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코로나19 기간 중 대면 소비가 위축되고, 영업 제한 조치가 시행된 영향으로 자영업자·소상공인의 금융권 대출이 크게 늘었다.
개인사업자의 원화 대출잔액은 2019년 말 692조7천억원에서 작년 말에는 916조원까지 늘어 2년 새 32.2% 증가했다.
개인사업자대출 가운데 비은행권 대출 증가율이 46%로, 은행권 증가율(26%)을 크게 웃돌아 대출의 구조적 질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 20조6천억원이 소요되는 이번 맞춤형 금융지원 조치 규모는 코로나19 이전(2017∼2019년 연 17조7천억원)보다는 많지만,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인 2020∼2021년(연 27조7천억원)보다는 적은 수준이다.
금융위는 맞춤형 금융지원에 필요한 재원은 대부분 정책금융기관인 기업은행[024110](이하 기은), 신용보증기금(이하 신보)의 자체 재원을 활용해 공급된다고 밝혔다.
![]() |
▲ 사진=41조2천억원 규모의 맞춤형 정책자금 공급 지원 체계 [제공/금융위원회]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