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서울 아파트 단지 [제공/연합뉴스] |
올해 전국 아파트 매매 건수는 역대 최다였던 2020년 45만2천123건과 비교해 59.3%나 줄었다.
3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전국 아파트 매매 건수는 18만4천134건으로, 2006년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같은 기간 기준으로 가장 적었다.
연도별로 6월까지 아파트 매매량이 20만건을 밑돈 것은 올해와 2019년 19만8천182건 뿐이었다.
같은 기간 서울은 4만8천298건에서 9천931건으로 79.4%, 인천은 3만9천911건에서 7천928건으로 80.1% 각각 급감했다.
서울과 인천에서 상반기 아파트 매매 건수가 1만건을 밑도는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경기도도 14만9천511건에서 3만5천549건으로 76.2% 감소했다.
2020년 상반기는 사상 처음으로 기준금리 0%대의 초저금리 시대가 열리면서 시중에 자금 유동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풍부했던 시기였다.
당시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3월에 0.50%p 낮추는 '빅 컷'(연 1.25%→0.75%)을 단행한 데 이어 불과 2개월 만인 5월에 0.25%p 추가 인하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 피해가 예상보다 크고 심각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
이 같은 초저금리에 따른 풍부한 자금 유동성이 부동산 시장을 자극하면서 아파트 매매 건수가 폭증하고, 가격도 대폭 올랐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기준금리가 지속해서 인상되자 아파트 매매 시장의 상황이 2년 만에 완전히 달라졌다.
![]() |
▲ 사진=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제공/연합뉴스] |
이 비중은 2020년 상반기 34.6%에서 2020년 하반기 40.2%로 처음 40%를 넘은 뒤 지난해에도 상반기(41.4%)와 하반기(42.0%) 연속해서 40% 이상이었다.
올해 들어 고물가와 금리 인상, 집값 하락에 대한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젊은 층의 매수세가 약해진 것이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금리가 언제까지 얼마나 오를지 모른다는 불확실성에 아파트 매수 심리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면서 "다음 달부터 생애 첫 주택 구매자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최대 80%로 확대되고, 대출 한도도 6억원까지 상향되지만 분위기가 반전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