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대중 수출 비중 높은 산업 [제공/대한상공회의소] |
지난해 한국의 대중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산업군은 정밀기기, 정밀화학, 반도체로 나타났다.
특히 반도체의 경우 20여 년간 대중 수출의존도가 가장 많이 높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1일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아 이런 내용이 담긴 '산업별 대중 수출의존도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산업별로 해당 산업의 전 세계 수출량에서 대중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본 결과 지난해 기준 대중 수출 비중이 큰 산업은 정밀기기(42.5%), 정밀화학(40.9%), 반도체(39.7%), 유리(39.3%), 석유화학(38.9%) 등의 순이었다.
목재(42.3%), 가죽·신발(38.8%)의 대중 수출 비중이 가장 높았던 2000년과는 양상이 확연히 달라진 것이다.
대한상의는 "소비재의 대중 수출의존도는 상대적으로 줄어든 반면 기술집약 산업의 대중 수출이 많이 늘어났다"며 "한·중 양국의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설명했다.
2000년 이후 대중 수출 비중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산업은 반도체였다.
![]() |
▲ 사진=대중 수출 비중 많이 늘어난 산업 [제공/대한상공회의소]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