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국제 유가 상승세 3월에도 지속될 경우 유류세 인하 연장

이재만 기자 / 기사승인 : 2022-02-24 09:13:18
  • -
  • +
  • 인쇄
국내 석유 수급·비축현황과 비상시 방출 계획 등을 점검
비상수급대응계획을 점검해 필요할 때 대체 도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시
▲ 사진=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제공/연합뉴스]

 

미국과 러시아가 충돌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러시아가 본격적인 군사 작전에 들어 가 이번 군사적 긴장 상태로 인한 세계경제에 큰 파장이 일 것이라는 불안감에 국내 유가(油價)까지 들석이는 가운데 상승세를 보이면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3일 울산 석유비축기지를 방문한 자리에서 "국제 유가 상승에 따라 국내 석유 가격이 상승세를 보여 서민의 에너지 비용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국제 유가 상승세가 3월에도 지속될 경우 유류세 및 액화천연가스(LNG) 할당관세 인하 조치의 연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고 기재부가 전했다.

홍 부총리는 또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악화 등으로 원자재 가격이 추가로 상승하면 업계 수요를 반영해 원자재 할당관세 인하 폭과 대상 확대를 적극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국내 석유 수급·비축현황과 비상시 방출 계획 등을 점검하고 "국내 석유 수급이 악화하면 비축유 방출 등이 즉시 착수될 수 있도록 철저한 준비태세를 갖추라"고 당부했다.

비상수급대응계획을 점검해 필요할 때 대체 도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현재 정부는 미국 등 동맹국 간 비축유 공동방출 결정에 따라 317만 배럴(올해 1∼3월)을 방출하는 한편 국내 수급 상황 악화에 따른 방출에 대비하고 있다.

정부의 석유 비축물량은 약 9천700만배럴로, 추가적인 외부 도입 없이 국내 수요 106일분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이는 국제에너지기구가 권고하는 비축물량(90일분)의 약 118%에 해당한다.

정부는 현재로서는 원유 수급에 문제가 없다고 보고 있다.

국내 정유사는 지난해 12월 8천693만 배럴, 지난 1월 9천479만 배럴의 원유를 수입했다. 국내 수요는 월평균 약 8천만 배럴이다.

지난해 기준 수입 원유 가운데 러시아산의 비중은 5.6% 수준이었다.

홍 부총리는 "현재 국내 원유 도입은 안정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비축 물량도 국내 석유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는 여력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울산 석유비축기지는 1천680만배럴의 석유를 저장할 수 있다. 전국 9개 석유비축기지의 총 석유저장 능력은 1억4천600만 배럴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