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부산항 신선대부두 야적장 컨테이너 [제공/연합뉴스] |
2분기(4∼6월) 한국 경제가 힘겹게 0.6% 성장했다.
한국은행은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분기 대비)이 0.6%로 집계됐다고 25일 발표했다.
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발생과 함께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0%)에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이후 3분기(2.3%)·4분기(1.3%), 2021년 1분기(1.8%)·2분기(0.9%)·3분기(0.1%)·4분기(1.4%), 지난해 1분기(0.7%)·2분기(0.8%)·3분기(0.2%)까지 9개 분기 연속 성장세를 유지했다.
수출 급감과 함께 지난해 4분기(-0.3%)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지만, 민간소비 덕에 올해 1분기(0.3%) 반등한 뒤 두 분기 연속 역성장을 피했다.
2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음식·숙박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1% 줄었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앞서 작년 4분기 -0.5%에서 올해 1분기(0.6%) 반등에 성공했지만, 두 분기 연속 성장하는 데 실패했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의류 등 준내구재와 음식·숙박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2분기 민간소비가 주춤했다"며 "1분기 방역조치 해제로 이들의 소비가 늘었기 때문에 2분기 기저효과가 나타난 데다, 5월 기상 여건도 나빠 대면 활동이 제약받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처럼 민간·정부 소비와 투자가 모두 줄었는데도 전체 GDP가 0.6% 증가한 것은 순수출(수출-수입) 덕분이었다.
실질GDP는 크게 보면 민간소비·정부소비·투자·순수출의 합인데, 1분기와 비교해 수출보다 수입 감소 폭이 더 커 순수출이 늘면서 플러스(+) 성장이 가능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 |
▲ 국내총생산 지출항목별 성장률 [제공/한국은행]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