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공/LH 한국토지주택공사] |
정부가 12일 LH의 공공주택사업 시행 기능을 최초로 민간에 열어 경쟁 체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그간 공공주택사업은 확실한 LH의 영역이었다.
공공주택특별법에서부터 LH 같은 공공만 사업자가 될 수 있도록 했다.
LH는 공공주택 공급량의 72%를 차지하며, 나머지를 서울주택도시공사(SH), 경기주택도시공사(GH) 등 지방공사가 공급한다.
설계·시공·감리 등 LH의 발주 규모는 연간 10조원에 달한다.
독점 상황에서 LH 부여된 공공주택 공급 규모가 갈수록 커지면서 건설 과정에 대한 관리 소홀, 부실 감리, 품질 저하의 악순환이 나타났다는 게 정부 진단이다.
정부는 'LH 독점'이 공공주택의 품질 저하를 불렀다고 보고 공공주택 시행권을 민간에도 열기로 했다. 이를 위해선 공공주택법 개정이 필요하다.
지금은 민간이 LH가 시행하는 아파트의 시공만 맡거나 LH와 공동으로 시행할 수 있는데, 앞으로는 민간 건설사가 단독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민간이 설계, 시공, 감리를 전권으로 할 수 있다는 뜻이다.
LH와 민간 건설사를 경쟁시켜 우수한 사업자가 더 많은 공공주택을 공급하도록 구조를 바꾼다.
분양가와 하자 빈도, 입주민 만족도 등을 평가해 택지별 지구단위계획 수립 때 공공주택사업을 LH가 할지 민간이 할지 정하는 방식이다.
![]() |
▲ 사진= 김오진 국토교통부 1차관, 1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LH 혁신 및 건설 카르텔 혁파방안 브리핑 [제공/연합뉴스] |
이를 통해 분양가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