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가계부채 엎친 데, 대외 리스크 덮쳐

배정전 / 기사승인 : 2011-08-07 12:14:42
  • -
  • +
  • 인쇄
한국 실물경제, 미국 불안 장기화 땐 타격 불가피

[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금융시장 대혼란은 한국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고물가와 900조원이 넘는 개인 신용부채 등 풀어야 할 숙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대외 리스크가 현실화됐기 때문이다. 금융시장 혼란이 단기 충격에 그치면 다행이지만 장기화될 경우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는 복병이 될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불안이 장기화되면 국내 실물경기가 흔들릴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우선 환율이 급등하면 4%대로 고공행진 중인 물가불안이 가속화된다.

정부가 물가·가계부채를 잡으려면 금리를 올려야 하지만 이 경우 대외 불안감과 합쳐져 소비심리를 얼어붙게 만들 수 있다. 다음주에 있을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일본 정부가 엔화 값을 떨어뜨리기 위해 시장개입에 나설 수 있는 것도 불안 요인이다.

이번 충격이 단기에 그칠지, 장기화될지는 국제 금융시장의 움직임,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정책적 대응에 달려 있다. 특히 미국의 대응에 관심이 집중된다. 미국이 3차 양적완화(채권을 사들여 달러를 시장에 푸는 것)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늘고 있다.

더블딥 우려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 기획재정부 윤종원 경제정책국장은 5일 “미국처럼 거대한 국가의 경제가 한꺼번에 나빠질 가능성은 그렇게 크지 않다”고 말했다.

정부는 ‘대책회의’를 동시다발적으로 열고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비상 체제에 들어갔다.

청와대는 관계기관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국내외 상황을 점검했다. 대책회의에는 재정부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의 실무급 간부들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미국의 경기 전망과 유럽의 채무위기 확산 등 상황별 시나리오에 따른 금융위기 재연 가능성과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 등을 논의했다.

재정부는 임종룡 1차관 주재로 금융시장 점검회의를 열었다. 재정부는 회의 후 “재정건전성, 충분한 외환보유액, 신흥국이 70% 이상인 다변화된 수출시장 등을 고려하면 우리 경제와 금융시장에 대해 과도하게 불안해할 이유는 없다”고 밝혔다. 재정부는 경제정책국, 국제금융국, 국고국 등 관련국 합동으로 일일 점검 체계를 구축해 강화된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할 방침이다.

금융위와 금감원도 비상금융합동점검회의를 열어 민간 전문가와 함께 자본시장팀, 외환시장팀, 자금시장팀 등 3개 팀을 꾸려 각 분야의 동향을 살피고 대응책을 마련키로 했다. 금융당국은 해외 설명회를 열어 투자자들에게 한국 경제의 건전성을 설명할 계획이다.

정부는 7일 재정부를 비롯한 관계기관들이 다시 모여 국내외 금융 상황을 점검하고 대책을 조율키로 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