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김태일 기자] 지난 4월 경상수지가 7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19년 4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 4월 경상수지는 6억6000만달러 적자를 냈다.
이는 7면 만에 적자다. 경상수지는 지난 2012년 5월부터 지난 3월까지 83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한 바 있다.
경상수지 적자의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는 상품수지 흑자 규모가 쪼그라든 데에 있다. 수출이 483억달러로 전년동월수준(515억1000만달러)보다 6.2% 감소했다. 지난해 12월부터 5개월 연속 감소세다. 미·중 무역분쟁 등의 여파로 세계 교역량이 부진한데다 반도체 단가 하락세가 지속 이어지고 있어서다.
수입은 426억3000만달러로 1.8% 늘어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수출이 줄어든 가운데 수입이 늘면서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56억7000만달러로 전년동월(96억2000만달러)보다 크게 위축됐다.
수출 부진에 수입이 늘어난 것이 상품수지 흑자 위축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수출은 지난 4월 483억달러로 전년동월대비 6.2% 줄었다. 5개월 연속 감소세다. 반도체 단가 하락과 세계 교역량 부진의 영향이다.
반대로 수입은 426억3000만달러를 기록 전년동월대비 1.8% 늘었다. 4개월 만에 증가 전환이다. 유가 등 원자재 수입 가격 상승의 영향이다.
서비스수지는 14억3천만달러 적자를 냈다. 적자폭은 2016년 12월 이후 2년4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서비스수지 구성항목 가운데 여행·운송수지가 개선된 덕이다.
중국인·일본인을 중심으로 한 입국자(관광객) 증가세가 지속, 여행수입(17억달러)은 2014년 11월 이후 4년5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상품수지 흑자폭이 축소되고 서비스수지 적자가 계속된 가운데 본원소득수지가 큰폭의 적자를 내면서 4월 경상수지 적자로 이어졌다.
본원소득수지는 43억3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56억2천만달러 적자)와 비교하면 적자폭은 줄었지만, 3월(7억4천만달러 적자)과 비교하면 급증한 것이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배당시즌 때문이다. 배당소득수지는 49억9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역대 3번째 규모인데, 1번째는 2018년 4월, 2번째는 2017년 4월이었다.
한은은 배당시즌이 지난 5월에는 경상수지 흑자 전환을 전망했다. 상품수지가 흑자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일시적 요인(배당)'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박양수 국장은 "매년 배당시즌이 돌아오는 '계절성'을 제거하고 계산하면 4월에도 33억6천만달러 흑자였다"고 설명했다.
박 국장은 "흐름으로 보면 50억달러가량이 좀 약화되는 느낌은 있는데, 한두 달 더 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은은 다음달 수정 전망을 발표한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