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통계청
[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사회적현물이전소득을 통해서도 소득분배가 상당 부분 개선된다는 사실을 뒷받침해주는 통계 결과가 나왔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사회적 현물 이전을 반영한 소득'이 2016년 현재 평균 466만원으로, 처분가능소득을 15.7%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소득분위별 증가율을 보면, 소득1분위, 즉 하위 20%는 59.8%로 가장 높고, 2분위는 27.3%, 5분위는 6.5% 등으로 소득하위층에서 상위층 보다 소득증가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전체 계층의 균등화 평균 처분가능소득은 2천974만원이었고 여기에 사회적 현물이전소득을 더한 조정 처분가능소득은 3천440만원으로 늘었다.
현물이전소득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값인 소득증가율은 15.7%였다.
정부가 연간 약 121조원어치 현물이전소득을 제공해 전체 계층 가구원 1인의 소득이 평균 15.7% 늘어난 셈이다.
현물이전소득의 효과는 저소득층일수록 큰 것으로 분석됐다.
2016년 균등화 평균 현물이전소득은 1분위 523만원, 2분위 481만원, 3분위 468만원, 4분위 453만원, 5분위(상위 20%) 403만원이었다.
이를 처분가능소득과 합한 조정처분가능소득은 각각 1천398만원, 2천246만원, 3천15만원, 3천959만원, 6천582만원이었다.
소득증가율은 1∼5분위가 각각 59.8%, 27.3%, 18.4%, 12.9%, 6.5%였다.
저소득층일수록 현물이전소득이 많고 처분가능소득이 작기 때문에 현물이전에 따른 소득증가율이 높았다.
반면 소득5분위배율과 상대적 빈곤율은 OECD 27개국이 평균 29%, 10%씩 감소하는데 그친 반면, 한국은 각각 33.3%, 31.4%씩 감소해 개선효과가 비슷하거나 훨씬 더 높았다.
다만 통계청은 한국은 2016년을 기준으로 조사한 반면 OECD 27개국 평균은 2007년을 기준으로 조사된 결과여서 국가별 지표를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고,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