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평창 올림픽 올림픽스타디움 [출처/인터넷언론인연대]
[데일리매거진=김학범 기자] 강원도의회가 2018 평창동계올림픽 경기장의 국가 관리를 촉구했다.
도의회는 27일 열린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제1차 임시회에서 동계올림픽경기장 사후 국가 관리 촉구 건의를 제안했다.
도의회는 건의안에서 "올림픽 경기장은 계절적 요인과 대중성 부족으로 시설운영 적자가 불가피하다"며 "재정여건이 충분하지 않은 강원도는 올림픽 시설 유지관리에 연간 100억원 이상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가 차원 메가 이벤트인 평창동계올림픽 시설의 사후관리를 지방자치단체가 전적으로 책임진다는 것은 지방재정의 엄청난 부담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며 "동계스포츠 인프라가 취약한 국내 여건을 고려했을 때 관리·운영상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시설에 대해서는 국가 차원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도의회는 스피드스케이팅, 강릉하키센터, 슬라이딩센터, 스키점프 등 4개 시설을 국가가 관리할 수 있도록 국민체육진흥법 및 동계올림픽 특별법 개정,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관리 방안 마련, 국비 지원을 요청했다.
도의회의 건의안은 서면심의로 진행된 이 날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임시회에서 의결됐고, 전국시도의장협의회 명의로 관계 중앙부처와 국회에 건의된다.
김동일 도의회 의장은 "우리나라는 1988 하계올림픽을 시작으로 2002 월드컵, 2011 세계육상선수권 대회, 2018 평창동계올림픽 등 세계 4대 스포츠 빅 이벤트를 모두 개최했다"며 "이런 스포츠 강국 입지는 대회의 성공적인 개최와 함께 대회의 유산을 관리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