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멕시코에서 '살인사건' 2만5천339명 피살

이재만 기자 / 기사승인 : 2018-01-22 13:23:02
  • -
  • +
  • 인쇄
10만 명당 살인율 20.51명, 살인 대부분 마약범죄와 연관 추정

1.jpg
▲사진=무장괴한들에게 피살된 멕시코 언론인의 장례식 [제공/연합뉴스]


[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지난해 멕시코에서 발생한 살인사건이 20년 만에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21일(현지시간) 멕시코 내무부 산하 공공치안 집행사무국(SESNP)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발생한 피살자는 2만5천339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통계가 집계된 1997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종전 기록은 2011년의 2만2천409명이었다.


지난해의 살인율은 인구 10만 명당 20.51명으로 2만545명이 피살된 2016년의 16.80명보다 높아졌다.


이 통계는 사법당국이 살인사건을 인지하거나 신고가 접수돼 수사에 착수한 경우만 해당하기 때문에 실제 살인은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피살자 중 몇 명이 마약조직 범죄와 연관됐는지 세부적으로 구분하지 않았지만, 피살자가 주로 마약범죄 조직의 세력이 강한 게레로 주와 베라크루스 주 등지에서 발생한 점으로 미뤄 대부분이 마약범죄와 연관된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멕시코에서는 펠리페 칼데론 전 대통령이 2006년 12월 마약조직과의 전쟁을 선포하며 소탕작전에 군을 투입한 이후 사망자가 약 20만 명에 달한다.


마약조직은 정부의 강력한 소탕작전에도 빈부 격차 및 일부 권력층과 공권력의 부패를 거름 삼아 마약밀매 외에 송유관 휘발유 절도, 인신매매, 납치, 보호비 갈취 등으로 영역을 확대하며 세력을 불려왔다.


멕시코 의회는 최근 국내 치안을 위해 군이 공식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치안법을 가결하기도 했으나 인권단체들은 치안법이 기존 시민사회의 자정 능력을 훼손할 뿐 아니라 군국주의화 경향을 심화시킬 수 있다며 반대해왔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