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朴대통령 문화계 '주도권 잡기' 위해 미르재단 추진

이재만 기자 / 기사승인 : 2016-12-28 09:33:37
  • -
  • +
  • 인쇄
"(문화계) 이슈를 선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500.jpg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과 박근혜 대통령 비리 의혹 사건을 수사하는 박영수 특검팀 현판

[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박근혜 대통령이 문화계에 진보·좌파 성향 인사들의 영향력이 크다는 판단 하에 '문화계 길들이기' 전략의 일환으로 미르재단 설립을 추진한 정황을 파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법조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특검팀은 "박 대통령이 문화계의 '좌파 성향'에 대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정부가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재단법인을 세워 문화계를 '정돈'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미르재단 설립에 나섰다"는 취지의 전 청와대 관계자의 진술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박 대통령은 검찰 조사 결과 미르재단 '강제 모금' 전면에 나선 것으로 드러난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구속기소)에게 "(문화계) 이슈를 선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의 '비선 실세' 최순실(60·구속기소)씨 공소장에도 미르재단 설립과 운영은 최씨가 주도했지만 재단 설립 구상 자체는 박 대통령이 직접 한 것으로 적혀 있다.

이런 가운데 검찰의 CJ 이미경 부회장 퇴진 압박 의혹 수사, 특검팀의 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 수사 등을 통해 현 정부가 문화계 인사들의 진보 성향을 못마땅해하고 정부 지원금 선정 배제 등 각종 불이익을 주려 했다는 의혹이 상당 부분 드러난 상태다.

고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업무일지에는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지시로 추정되는 '長' 표시와 함께 "사이비 예술가가 발붙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문화예술가의 좌파 각종 책동에 투쟁적으로 대응하라"는 지시 내용도 적혀 있다.

정부가 문화계를 정부의 입맛에 맞게 주무르려고 했던 정황은 검찰의 CJ 이미경 부회장 퇴진 압박 의혹에 관한 수사나 특검의 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 수사에서도 이미 드러나고 있다.

특검팀 역시 청와대와 문체부 주도로 '1만명설'까지 제기된 '블랙리스트'의 존재를 확인하고 배후를 캐기 위해 26일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을 상대로 압수수색을 진행하면서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한편, 사정당국 관계자는 "최순실은 미르재단을 만드는 역할을 하면서 이를 잘 이용하면 돈을 벌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미르재단 설립 직후부터 컨설팅, 용역 회사 등을 집중적으로 세웠지만 돈을 본격적으로 빼가지 못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