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공격자가 악성코드 유포를 위해 제작한 블로그 [제공/안랩] |
안랩이 최근 온라인으로 상용 소프트웨어나 게임 등 유료 프로그램을 불법으로 다운로드받으려는 사용자를 노려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례를 잇달아 발견해 주의를 당부했다.
안랩은 최근 업무용 상용 소프트웨어의 크랙 파일 다운로드 사이트로 위장한 피싱 사이트를 발견했다.
사용자가 검색 사이트에 특정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와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하면 공격자가 미리 제작해놓은 블로그가 검색 결과에 노출된다.
공격자는 웹사이트 주소에도 ‘Crack(크랙)’이나 ‘Free(공짜)’ 등의 문자를 삽입하고 사이트 내에 상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사용설명서도 올려 사용자를 유인했다.
사용자가 공격자의 웹사이트에 접속해 게시글 속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악성코드를 포함한 압축파일(.zip)이 다운로드된다.
또한 게임 불법 실행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파일공유 사이트에 올린 사례도 발견됐다.
공격자는 유료 게임 설치파일로 위장한 압축파일(.zip)을 유명 파일공유 사이트에 올렸다. 사용자가 파일을 내려받아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면 게임명과 동일한 이름의 실행 파일(.exe)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해당 파일을 열면 게임이 정상적으로 실행됨과 동시에 악성코드가 사용자의 PC에 설치된다.
![]() |
▲ 사진=공격자가 악성코드 유포를 위해 제작한 블로그 [제공/안랩]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