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별위원회 제안 설명 및 토론회 [제공/국민통합위원회] |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는 30일 오후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별위원회 제안 설명 및 토론회를 개최했다.
국토교통부, 보건복지부 등 정부 부처와 장애인 당사자 및 전문가 등이 참석한 이번 설명·토론회는 ‘모두를 위한 이동의 자유’를 주제로, 장애인이동편의증진 특별위원회(이하 ‘특위’)가 지난 넉 달간의 논의를 통해 도출한 정책 제안을 설명하고, 장애인 이동편의증진의 미래상에 대해 토론하는 자리였다.
세션 1 : 제안 설명에서는 방문석 특위위원장이 특위 활동 경과와 중점 정책 제안에 대해 설명했다.
특위는 2022년 9월 26일 출범한 이래 매주 이어진 정례회의, 현장방문과 장애계 설문조사 및 간담회, 부처 협의 등을 추진했으며, 지난 12월 국민통합 전략 및 성과보고회를 통해 대통령 및 관계부처와 특위의 제안을 중간 점검했다.
그 결과, 고령화 사회에서 이동의 문제는 비단 장애인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서 ‘모두를 위한 이동의 자유’를 특위의 목표로 삼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중점 정책 제안으로 ▲특별교통
단(장애인콜택시) 개선, ▲대중교통의 유니버설디자인화, ▲개별이동수단 개선,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 ▲장애인 이동편의 및 접근성 정보 구축·활용 강화, ▲장애친화적 이동편의증진 인식 확산 여섯 가지를 도출했다.
방 특위위원장은 “특별교통수단(장애인콜택시)과 대중교통의 접근성은 장애인의 입장에서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문제”라고 말하며, “이동보조기기나 자가차량, 렌터카 등 개별이동수단 지원 강화와 정보 접근성 개선은 장애인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이동권 논의의 범위를 확장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의의를 설명했다.
세션 2 : 토론회에서는 ‘장애인 이동편의증진의 미래’에서는 ’장애인 이동편의 및 접근성 정보, 어떻게 구축하고 활용할 것인가‘를 주제로 홍윤희 특위 위원의 첫 번째 발제가 이어졌다.
홍 위원은 장애인의 이동에 필수적인 이동편의 및 접근성 정보가 법률·부처·수단별로 각기 분산되어 관리되며 민간에 개방되지 않는 문제를 지적하며, 수요자의 시각에서 이동편의·접근성 정보 관리체계를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국토교통부·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장애인 이동편의·접근성 데이터 정책 컨트롤 타워를 구축하고, 민간이 생성·수집하는 데이터를 공공데이터와 연계·결합할 수 있는 지원정책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한편, 최보윤 위원은 ’장애인 개별이동수단, 어떻게 법체계를 개선하고 기술을 발전시킬 것인가‘라는 주제로 두 번째 발제를 이어갔다.
최 위원은 그간 장애인 이동편의증진 논의가 대중교통이나 특별교통수단(장애인콜택시)에 한정되어 있어, 이동보조기기나 자가차량 등 개별이동수단에 대한 접근성 논의가 부족했음을 지적하며, 이동 보조기기를 이용하는 장애인에 대한 도로교통법상 보행자 지위 강화와 공적 지원 강화, 장애인의 주된 교통수단인 자가차량 구매·개조 지원 등 종합적 대책 마련, 개별이동수단에 대한 적극적인 기술 개발 투자 등을 제안했다.
![]() |
▲ 사진=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제공/국민통합위원회]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