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서울 사당역 인근 오피스텔 밀집 지역 ⓒ데일리매거진DB |
지난해 정부가 임대차 3법으로 인한 전세난을 잡기 위해 내놓은 11·19 전세대책이 올해 목표치의 20% 수준에도 못 미치는 저조한 실적을 거두며 사실상 실패했다고 밝혔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민의힘 송언석 의원(경북 김천)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부가 11·19 전세대책의 후속 조치로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입주자 모집 공고를 낸 임대주택은 총 5만2000가구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당초 정부가 계획한 물량인 7만5100가구와 비교하면 목표치의 69.2%를 달성한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임차인을 찾지 못해 비어있던 공공 임대주택을 활용한 물량이 계획보다 많이 나오면서 생긴 착시효과에 불과하다.
![]() |
▲ 2021년도 전국 전세형 공공 임대 공실 활용 계획 및 실적 현황 [제공/송언석 의원실] |
정부가 계획했던 공실 공공 임대주택 활용 물량은 3만9100가구였는데, 실제 공급 실적은 4만6000가구로 목표치보다 17.5%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축 매입약정 방식의 공급 실적은 4977가구로 당초 목표치인 2만1000가구의 23.7%에 그쳤고, 양질의 공공임대를 표방한 공공전세 공급 실적은 677가구로 계획(9000가구)의 고작 7.5%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결국, 임차인을 찾지 못해 비어있던 공공임대주택을 제외하면 순수하게 늘어난 공급 실적은 5654가구로 당초 목표치인 3만가구의 18.8%에 불과한 것이다.
![]() |
▲ 2021년도 공공 전세 주택·신축매입 약정·비주택 리모델링 계획 및 실적 현황 [제공/송언석 의원실] |
![]() |
▲ 사진=국민의힘 송언석 의원(경북 김천)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