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일자리 대전환 6대 공약 발표하는 이재명 대선후보 [제공/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는 18일 임기 내 청년 고용률 5%포인트 향상을 목표로 '담대한 일자리정책'을 펼지겠다고 약속했다.
이 후보는 이날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은 내용의 '일자리 대전환 6대 공약'을 발표했다.
6대 공약은 ▲ 대전환을 통한 일자리 창출 ▲ 정의로운 일자리 전환체계 구축 ▲ 일자리 정책 체계 정비 ▲ 기업주도 일자리 성장 촉진 ▲ 혁신형 지역 일자리 창출 ▲ 청년 일자리 지원 등이다.
이 후보는 300만개 일자리 창출의 3가지 원동력 가운데 '디지털 대전환'을 위해서는 국비·지방비·민간자금을 포함한 135조원을 조성해 인프라 투자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에너지 전환 역시 신산업 일자리 창출의 기회로 삼고, 사회서비스 대전환을 통해 돌봄·간병·보육과 코로나 팬데믹 극복을 위한 공공보건 분야에 반듯한 일자리를 늘리겠다고 했다.
특히 사회서비스 일자리 공약은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의 공약을 '실사구시' 입장에서 수용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지난 대선에서 유 전 의원이 사회적 일자리 100만개를 주장했다가 야권으로부터 '포퓰리즘이다, 큰 정부 추진이다, 예산낭비다' 공역받은 바 있는데, 그와 달리 훌륭한 정책이라 생각한다"며 "더 좋은 나라를 만들려면 진영논리에 빠져 유효한 정책·인사를 놓쳐서는 안 된다. 그게 통합정신"이라고 말했다.
국민내일배움카드를 개편해 청년 지원금을 현재보다 두 배로 늘리고, 교육과 취업을 포기한 '니트(NEET)족' 청년에게는 전문가 멘토를 활용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청년 위기극복 1대1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정책 체계의 재정비를 위해서는 기획재정부를 개편하면서 일자리정책 기획·조정 기능을 대폭 강화해 일자리 전환의 컨트롤 타워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정책 체계의 재정비를 위해서는 기획재정부를 개편하면서 일자리정책 기획·조정 기능을 대폭 강화해 일자리 전환의 컨트롤 타워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부의 지원 의무와 재원 부담 등을 명시한 일자리 전환 기본법을 제정하고, 일자리위원회를 '일자리 대전환위원회'로 개편해 일자리 전환 기본전략을 수립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