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추석 4인 기준 차례상 마련하는데 평균 30만원 필요

안정미 기자 / 기사승인 : 2021-09-03 11:35:20
  • -
  • +
  • 인쇄
지난해 추석 1차 조사 때 평균 가격(27만4천768원)보다 9.3% 증가
▲ 2021년 추석 차례상 소요 비용(유통업태별 평균) 단위:원 [제공/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추석 3주 전인 지난달 30∼31일 서울 25개 자치구 88개 시장과 유통업체에서 추석 제수 용품 24개 품목의 구매 비용을 조사한 결과 평균 30만369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추석 1차 조사 때 평균 가격(27만4천768원)보다 9.3% 증가한 것이다.

24개 품목 중 22개 품목의 가격이 지난해보다 올랐다. 상승률이 가장 높은 품목은 곶감(상주산·10개 기준)으로 지난해 1만452원에서 올해는 1만4천590원으로 39.6% 올랐다.

이어 달걀(일반란 1판)이 5천833원에서 7천988원으로 36.9% 상승했다. 

달걀은 추석 3주 전을 기준으로 지난 5년간 가격을 비교하면 가격이 가장 낮았던 2019년 5천42원보다 58.4% 높다.

대형마트 판매가가 평균 6천608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이어 전통시장 8천177원, 일반 슈퍼마켓 8천616원, 기업형 슈퍼마켓 8천659원, 백화점 1만493원 등으로 업체에 따라 최대 3천800원 이상 차이가 났다.
 

▲ 2020년 대비 2021년 품목별 추석물가 증감률(단위:%) [제공/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과일류는 곶감 외에 배 가격이 27.3% 올라 평균 22.6% 상승했다.

반면 참조기(3마리 기준)는 지난해 8천53원에서 올해는 5천137원으로 36.2% 하락했고 청주도 1만1천618원에서 1만772원으로 7.3% 내렸다. 유통업태별로는 전통시장을 이용할 경우 4인 기준 차례상을 마련하는데 드는 비용이 평균 23만4천804원으로 대형마트(30만8천205원)보다 23.8% 저렴했다.

물가감시센터는 "오르는 추석 물가로 소비자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달걀은 산지 가격 상승률이 다른 단계보다 높은 편으로, 산지 가격 결정구조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