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한국경제연구원CI |
이같은 여론 조사 전망에 코로나19사태가 첫번째로 이유로 꼽히는 가운데 정부의 기업규제 강화도 한 몫을 했으며 이와 더불어 친노조정책으로 기업들이 취업의 문을 걸어 잠그고 있어 고용 여건이 당분간은 개선될 여지가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난 22일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이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이날 한국경제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일자리 전망 국민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7.3%는 올해 고용상황이 코로나19 이전(2019년)과 비교해 악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여론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44.6%가 ‘매우 악화’, 32.7%는 ‘조금 악화’라고 답했다. 일자리가 개선될 것으로 보는 응답은 전체의 8.3%(조금 개선 5.3%, 개선 3.0%)에 불과했다.
특히 눈에 띄는 20대 응답자의 경우 올해 고용상황이 ‘매우 악화 될 것’이란 전망이 과반(53.2%)이었다. 반면 ‘매우 개선될 것’이란 응답은 ‘제로’(0%)로 나타나 청년층의 취업은 당분간 힘든 시간을 보내야 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서 이렇듯 청년층의 고용과 취업 상황이 악화할 주된 원인으로는 코로나19 지속(45.3%)이 꼽혔다. 이어 ▲국회·정부의 기업규제 강화(26.3%) ▲정부의 친노조정책(10.7%) ▲기업경영실적 부진(10.5%) ▲신성장동력산업 부재(7.2%) 등의 순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기업규제완화(24.9%) ▲고용시장 유연화(21.9%) ▲공공일자리 확대(15.5%) ▲고용 증가 기업 인센티브(15.3%) 등이 지목됐다.
이번 조사에서는 고용 전망 만큼 월급에 대한 전망도 암울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10명 중 약 7명(68.9%)은 물가 대비 월급이 오르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또 향후 소득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에 대한 질문에는 ▲주식, 부동산 등 재테크(32.9%) ▲업무역량강화 및 승진(14.9%), ▲창업(9.1%) ▲이직(7.8%) 순으로 응답했다. ▲기타 응답은 35.3%였다.
![]() |
▲사진=500대기업(매출액기준)의 상반기 채용계획 [제공/한국경제연구원] |
최근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하면서 조속한 시일내에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한 접종을 앞두고 있지만 대면서비스업에 대한 고용 악화 또한 여전히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는 반대로 향후 가장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반도체부분으로 (21.4%)로 이어 바이오 등 신사업(20.6%)이 바로 뒤를 이어 신사업이 가져다 줄 고용 효과에 대한 기대 또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은 숙박·음식점업(22.5%)으로 가장 높았으며 기계·선박·철강(17.4%), 건설(14.5%)이 그 뒤를 이었다.
한경연 추광호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 완화 분위기에도 국민이 고용 상황을 여전히 부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경제의 성장 활력이 많이 약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이어 “국민의 기대를 반영해 일자리 창출을 막고 있는 규제를 완화하고 기득권의 진입장벽을 낮춘 고용시장 조성이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한국 경영자총협회가 지난달 212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채용을 축소하겠다는 응답이 65.4%였고 채용을 늘리겠다는 응답은 6.2%로 기업들은 올해 주요 취업 트렌드로 ‘수시 채용 비중 증가’(29.1%)와 ‘경력직 채용 강화’(20.3%)를 꼽아 기업도 경력 채용을 늘리는 추세다. 이 같은 현상에 경력이 부족한 청년들의 취업난이 장기적으로 고착화될 것이란 전문가들의 우려하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