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올해 상반기 3조2천704억원어치 부실채권 상·매각

정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4-07-15 10:41:18
  • -
  • +
  • 인쇄
-작년 상반기 2조2천232억원의 1.47배 수준
-작년 하반기 3조2천312억원 보다도 많아
▲ 사진=서울 시내의 한 은행 앞에 주택담보대출 현수막 [제공/연합뉴스]

 

고금리·고물가로 내수 부진이 이어지자 은행에서 돈을 빌리고 제때 갚지 못하는 가계와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5대 은행은 올해 상반기에만 3조2천억원이 넘는 부실채권을 상각 또는 매각을 통해 장부에서 털어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올해 상반기 3조2천704억원어치 부실채권을 상·매각했다.

올해 상반기 상·매각 규모는 작년 상반기(2조2천232억원)의 1.47배 수준일 뿐 아니라, 작년 하반기(3조2천312억원)보다도 많았다.

은행은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 채권을 '고정 이하' 등급의 부실 채권으로 분류하고 별도 관리하다가, 회수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되면 떼인 자산으로 간주한다.

이후 아예 장부에서 지워버리거나, 자산유동화 전문회사 등에 헐값에 파는(매각) 식으로 처리한다.

상각 대상에는 주로 담보가 없는 신용대출 채권이 많고, 매각은 주로 주택담보대출 채권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 5대 은행 부실 채권 상·매각 실적 추이 [제공/연합뉴스]

5대 은행 상·매각 규모는 2022년 2조3천13억원에서 2023년 5조4천544억원으로 급증했으며 올해에도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빌린 돈을 갚지 못하는 대출자가 많아지자, 은행들이 건전성 관리를 위해 적극적으로 부실채권 정리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일부 은행은 2022년까지만 해도 분기 말에만 상·매각을 해왔으나 지난해부터는 분기 중에도 상·매각을 진행했다.

또한 A은행의 경우 올해 상반기 상·매각 규모가 시계열 자료가 존재하는 2017년 이후 역대 최대 기록인 것으로 확인됐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2023년 이후 상·매각 규모는 증가하는 추세"라며 "연체 증가가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여 자산건전성 제고를 위한 대손 상·매각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