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4년 공공부문 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부문의 총수입은 710조3000억원으로 2013년보다 30조1000억원(4.4%) 증가했다.
반면 총지출은 694조3000억원으로 11조3000억원(1.7%) 증가에 그치면서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저축투자차액'은 16조원 흑자로 나타났다. 저축투자차액이 흑자를 보인 것은 관련 통계가 첫 집계된 2007년 이후 7년 만이다.
공공부문의 저축투자 차액은 2007년 17조6000억원 흑자를 나타낸 뒤 2008년 -5조4000억원, 2009년 -57조8000억원, 2010년 -31조3000억원, 2011년 -19조4000억원, 2012년 -5조원, 2013년 -2조7000억원으로 6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한은은 지난해 공공부문 총수입 증가률이 4.4%로 전년의 2.2%보다 높아진 것과 관련해 정부의 조세수입과 사회부담금 등이 늘어나고 비금융공기업의 부동산개발 및 공급 관련 매출이 확대된 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지난해 총지출 증가률은 1.7%로 전년의 1.9%보다 감소했다. 일반정부의 복지 관련 지출 등이 늘어났지만 비금융공기업의 투자지출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부문별로 일반정부는 지난해 총수입이 493조원으로 전년(473조1천억원)보다 19조9천억원(4.2%) 증가했다. 충지출은 474조5천억원으로 전년(454조원)에 비해 20조5천억원(4.5%) 증가했다.
일반정부의 저축투자차액(총수입-총지출)은 18조6천억원으로 수입초과 규모가 전년(19조1천억원)보다 5천억원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이번 비금융 공기업의 적자 개선에 대해 "지난해 정부의 공기업 '방만 경영 해소', '부채 감축' 등의 노력이 나타난 결과"라고 평가했다.
한편 금융 공기업은 금리 인하 등의 영향을 받아 총수입이 전년에 비해 1조4000억원(-3.9%) 줄어든 33조9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사진제공=방송화면]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