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3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3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601만2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7%(10만1000명) 늘었다. 하지만 임금근로자 중 차지하는 비중은 32.0%로 0.1%포인트 작아졌다.
비정규직 가운데 시간제근로자(209만1000명)는 9.1%(17만5000명), 한시적근로자(341만7000명)는 0.5%(1만6000명) 증가한 반면 비전형근로자(214만8000명)는 0.1%(3000명) 감소했다.
성별로는 남자가 275만3000명으로 0.7%(1만9000명) 증가했고, 여자는 325만9000명으로 2.6%(8만2000명) 많아졌다.
연령별로 60세 이상이 6만8000명(6.1%), 20대 3만5000명(3.5%), 50대 2만8000명(2.1%) 증가한 반면 40대는 4만4000명(-3.3%)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음식숙박업 7만5000명(6.7%),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5만5000명(1.9%), 건설업 2만명(3.0%) 등에서 비정규직이 늘어난 반면 광·제조업에서는 2만8000명(-5.2%) 감소했다.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종사자 11만2000명(6.3%), 서비스·판매종사자 2만4000명(1.7%) 등에서 증가했다. 기능·기계조작 종사자 3만1000명(-3.2%), 사무종사자 1만1000명(-1.6%) 감소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간 월평균 임금격차는 올해 12%로 전년동월대비 0.8%포인트 확대됐다. 올해 1월~3월 월평균 임금은 146만7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8000원(0.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정규직 월평균 임금은 171만3000원으로 4.3% 증가했다.
한편, 시간제근로자의 증가에 따라 임금지불 적용형태는 시급제와 일급제가 각각 1.0%포인트, 0.9%포인트 많아진 반면 연봉제(-0.9%포인트), 실적급제(-0.9%포인트)는 적어졌다. [사진제공=방송화면]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