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위기에 빠진 한나라당을 구원할 구원투수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당 전면 복귀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2006년 6월 당대표로 임기를 마친 뒤 5년6개월 만이다. 현재 한나라당은 10·26 재·보선 패배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 때문에 당 창립 후 최대의 위기에 봉착해 있다.
박 전 대표로서는 쇄신파의 탈당 등 내부 동요를 막는 것이 급선무다. 때문에 박 전 대표가 한나라당 내부에 거센 쇄신 바람을 몰고 올 것이라느 관측이 지배적이다.
박 전 대표는 7일과 8일 쇄신파 의원, 친박의원, 중진의원들에게 '현재 체제로서는 힘들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준표 대표 체제가 당 쇄신작업과 공정한 공천을 이끌어주길 바랬지만 결국 당내 분란만 키우고 막을 내린 것을 염두해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현재 쇄신파와 친박계 일부에서는 박 전 대표가 비상대책위원장을 맡는 시나리오를 가장 현실성 있게 검토하고 있다. 남경필 의원은 MBC 라디오에 출연해 "일단 비대위를 구성하고 박 전 대표가 위원장을 맡는 것이 가장 정도라고 본다"고 말했다. 비대위에서 총선 선거대책위원회가 구성되면 선대위원장을 맡을 가능성도 높다. 어떤 역할을 맡든 박 전 대표의 책임과 권한이 아래 내년 총선이 치러지게 될 것은 분명하다. 사실상 내년 총선이 대선의 전초전이 되는 셈이다.
특히 박 전 대표가 이명박 대통령과 어떤 방식으로 차별화 전략에 나설지 주목된다. 박 전 대표는 이미 당명 교체도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는 당초 부정적인 입장에서 당의 위기상황을 직면하면서 수용하는 쪽으로 입장을 선회한 것이다.
하지만 낙관할 수 만은 없다. 박 전 대표로서는 당의 정책과 정체성 확립, 인적 쇄신은 물론 내년 총선까지 책임져야한다. 이런 가운데 야권의 집중포화가 예상되 박 전 대표는 대선 전에 네가티브 공세에 시달릴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얽히고설킨 계파 간의 이해관계도 조율해야 한다. 계파 간의 이해관계가 분명히 존재하는 상화아에서 최대한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
때문에 박 전 대표가 쇄신파를 등에 업고 재부 정화 운동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부자정당' 이미지를 씻기 위해 부자증세나 교육·복지 관련 정책을 입안할 것으로 보인다. 공천에 있어서도 계파를 뛰어넘거나 새로운 인물을 대거 등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