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장병문 기자] 부실 전기차가 소비자들의 원성을 사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전기차 지원 대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지난 22일 MBC '뉴스데스크'는 한 중소기업이 개발해 판매한 전기차가 잦은 고장과 성능 저하로 자동차로서 제 구실을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1200여만 원 상당의 중소기업 전기차가 에어컨이 작동 되지 않고 와이퍼와 트렁크 문 고장 등을 꼬집었다. 특히 한 번 충전에 50km까지 주행이 가능한 모델이지만 실제로는 10km 주행도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부실 전기차의 피해는 개별 구매자들뿐만 아니라 공공기관과 자치단체까지 이르고 있다. 공공기관 관리용으로 구입한 전기차는 관내 순찰도 어려운 상황이다. 에어컨을 비롯해 창문도 열리지 않아 운행 불가능 상태였다.
문제는 생산업체의 경영 악화로 수리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중소기업에서 자동차를 만들었기 때문에 품질 부분에서 부족한 점들이 많다"는 게 관련 종사자들의 설명이다. 한 때 이명박 대통령까지 관심을 가져 주가가 치솟았던 업체였으나 판매 부진으로 결국 생산라인까지 멈췄다.
최근 세계자동차시장은 친환경 자동차에 사활을 걸고 있다. 앞으로 유럽과 미국 등의 자동차 시장에서는 탄소배출량 규제가 까다롭고 연비가 높아야 판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한국의 중소기업들이 전기차 시장에 진출하고 있지만 제도적인 지원장치가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동차 관련부처들은 제도적으로 전기차 지원에 발 벗고 나서야할 때다. 현재 중소기업을 홀대하고 대기업 위주의 지원 및 정책적 배려를 하고 있다.
정부는 중소기업에 대한 적극적 지원과 옥석 찾기를 통해 전기차 전체의 인프라 구축에 앞장서야 한다는 것이다. 대기업이 전기차가 수익구조를 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흉내내기에 머무는 동안 중소기업은 적극적인 개발과 상용화에 앞장섰다. 하지만 이 같은 구조적인 문제로 실패를 맛보면서 전기차라는 분야에서 기회를 놓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가 전기차 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선정, 지원을 토대로 대기업은 좀 더 진취적인 생각을 가지고 중소기업과 상생관계를 통해 역할을 분담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