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데일리매거진=김용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통신장비 기업 화웨이와 계열사를 거래제한 기업 명단에 올렸다고 1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이로인해 화웨이가 영업에 심각한 차질을 빚을 뿐만 아니라 미국 외에 세계 각지의 연관기업들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상무부 대변인을 인용, 이 조치의 효력이 즉시 발생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화웨이와 해당 계열사들은 미국 기업에서 부품 구매 등을 할 때 미국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통신은 불허를 기본 원칙으로 하는 정책에 따라 허가 심사가 이뤄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상무부는 화웨이가 미국의 안보나 외교적 이익에 반하는 활동에 연루돼 있다고 판단하면서 미국의 대이란 제재 위반 혐의로 뉴욕시 브루클린 연방법원에서 진행 중인 화웨이의 형사소송을 사례로 제시하기도 했다.
화웨이 사정을 잘 아는 한 소식통은 로이터 인터뷰에서 "(기술격차 때문에) 수년간은 미국 납품업체들이 중국 납품업체들로 대체될 수 없다"며 "그때까지 화웨이는 죽었다"며 제재의 전면부과 때 발생할 사태를 설명했다.
납품업체, 화웨이 설비에 의존하는 고객들도 연쇄 타격
화웨이, "미국의 기업과 소비자 이익을 해치는 것"
화웨이에 반도체를 납품하는 한 기업 임원도 미국의 제재가 실질적으로 적용되면 화웨이가 통신장비 제조에 문제를 겪을 것으로 내다봤다.
더 큰 문제는 그 타격이 화웨이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 확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당장 미국의 퀄컴, 마이크론, 인텔과 같은 업체들은 연간 110억 달러에 손을 뗄 위기에 직면했다.
미국의 필수부품 공급이 중단돼 화웨이의 생산라인이 멈추면 다른 국가들의 납품업체, 화웨이 설비에 의존하는 고객들도 연쇄 타격을 받게 된다.
화웨이 측은 "미국의 기업과 소비자 이익을 해치는 것"이라며 거세게 반발했다. 미국의 조치로 인해 차세대 통신 규격 5G 구축이 크게 늦어질 것이라고 지적하며 "불합리한 제한이 화웨이 권리를 침해하고 엄중한 법률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화웨이는 비즈니스 규칙이나 미국 법률을 위반하지 않았으므로 "법적 수단으로 미국 정부의 불공정한 결정에 대응하고 권리를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미국은 화웨이를 쓰러뜨릴 수 없으며 중국의 발전을 저지하고 14억 중국인의 발전 권리를 빼앗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