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2019년 4월 3일 브루나이 반다르스리브가완에서 하사날 볼키아 국왕의 연설을 들으러 모인 현지 무슬림 여성들이 기도하고 있다. [제공/연합뉴스DB]
[데일리매거진=김태일 기자] 동성애자와 간통죄를 저지른 자에게 돌을 던져 죽이는 등 가혹한 처벌이 담긴 새 형법을 시행한 브루나이가 "처벌보다는 예방 목적이 크다"면서 유엔(UN)을 비롯해 국제사회의 비난에 항변을 하고 나섰다.
13일 현지언론과 외신에 따르면 에리완 유소프 브루나이 제2 외교장관은 UN에 보낸 서신에서 "(새 형법의) 목적은 처벌보다는 교육과 억제, 재활, 양육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불륜과 남색 행위를 법률로 금지한 것은 가통(家統)의 존엄성과 무슬림 개인, 특히 여성의 결혼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새 형법이 비(非)무슬림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동남아시아의 대표적 이슬람 국가 중 하나인 브루나이는 지난 3일 절도범의 손목을 자르고 동성애자나 간통죄를 저지른 이는 투석 사형에 처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샤리아(이슬람 관습법) 형법을 시행했다.
이와 관련해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같은 날 대변인을 통해 "어디에 사는 누구든 어떠한 형태의 차별도 받지 않아야 한다는 것과 관련한 인권이 지켜져야 한다"면서 "해당 법의 승인은 명시된 원칙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할리우드 스타 조지 클루니를 비롯한 저명인사들도 브루나이 왕가 소유 호텔에 대한 불매운동을 촉구했다.
호주와 스위스, 영국, 런던 등 세계 각국 기업들도 '브루나이 보이콧'에 동참할 움직임을 보인다. 영국 등지에선 브루나이 왕가 소유의 고급 호텔 앞에서 샤리아 형법 시행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제러미 헌트 영국 외무장관은 트위터를 통해 유소프 장관을 최근 만나 동성애자가 브루나이에서 실제로 샤리아 형법에 의해 처벌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말을 들었지만 만족할 만한 답변은 아니었다면서 "누구든 원하는 사람을 사랑할 자유를 가져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국제사회의 비난 여론과 대조적으로 브루나이 국내에서는 무슬림과 비무슬림을 막론하고 샤리아 형법 시행에 대한 반발이 크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는 종교지도자를 겸하는 국왕에 대한 비판이 금기시되는 사회 분위기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사진=2019년 4월 3일 브루나이의 하사날 볼키아 국왕(가운데)이 이슬람 관련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반다르 세리 브가완의 국제컨벤션센터에 들어서고 있다. [제공/연합뉴스DB]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