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주목①] 국내 자동차 산업 위기 '악화'…대내외 탈출구 찾아야

김영훈 / 기사승인 : 2018-10-31 16:50:29
  • -
  • +
  • 인쇄
'1고 3저'(고비용, 저생산, 저효율, 저수익) 구조의 늪 빠져

2018-10-31 16;47;53.JPG


한때 세계 5대 자동차 생산국이라는 명성을 떨친 국내 자동차 산업이 급격하게 악화돼 큰 위기에 봉착했다. 대외적으로 미중 무역전쟁 갈등에 따른 수요 둔화와 글로벌 교역 부진, 수입차 점유율이 18% 증가, 신흥국 통화 가치 약세 등의 원인으로 자동차 산업이 위기감이 짙어지고 있다. 대내적으로는 미흡한 정부 규제, 인건비 상승과 리콜에 따른 비용, 생산성 및 품질경쟁력 저하 등이 부진으로 이어졌다. 여기에 한국경제 침체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어 자동차 시장에 먹구름이 낀 상황이 초래됐다. 이에 데일리매거진은 한국 자동차 산업의 현주소와 무엇이 문제인지 짚어보고, 이러한 위기 극복의 타개책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편집자註 >


[데일리매거진=김영훈 기자] 국내 자동차 시장 점유율 80%를 차지하고 한국 경제의 호황기와 함께 승승장구했던 현대자동차가 최근 실적이 악화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현대차는 지난 25일 콘퍼런스콜에서 3분기에 매출 24조4천337억 원, 영업이익 2천889억 원의 실적을 보였다고 발표한 바 있다. 특히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76%나 줄었다.


환율과 리콜 등으로 발생하는 비용 지출이 발목을 잡았다.


현대차에 이어 기아자동차도 역시 실적발표에서 3분기 영업이익은 1713억원, 영업이익률은 0.8%에 마물렀다. 보기에는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흑자로 돌아섰지만 올해 목표인 287만5000대를 달성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쌍용자동차의 3분기 실적은 지난해보다 적자 폭이 더욱 확대됐다. 쌍용차는 7분기 연속 적자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220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한국GM은 연구개발 법인분리 논란 속에서 정상화 합의 6개월 만에 노사가 다시 충돌하고 있어 올해 1조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통합적으로 올해 9월까지의 국내 자동차 생산은 지난해보다 8.4%, 내수는 3.4%, 수출은 9%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과 내수, 수출이 동시에 침체되는 이른바 '트리플 부진'에 빠진 것이다.


부품 공급하는 협력업체에도 '악영향'
상장사 89곳 가운데 42개사 적자


국내 완성차 업계 부진은 곧바로 부품을 공급하는 협력업체들이 고스란히 영향을 받게 된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이 집계한 자료를 보면, 1차 협력업체인 상장사 89곳 가운데 42개사가 적자를 기록했다.


1차 부품업체가 도산할 경우 그 여파는 2차, 3차 협력업체 차례로 퍼지게 된다.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자동차 산업이 무너질 경우 한국 경제 전반으로 위기가 확산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에 자동차산업협동조합은 자동차 부품 협력업체 800여곳을 대상으로 정부에 3조원 규모의 긴급 자금 수혈을 요청했다.


금융업계의 한 관계자는 "완성차 귀족 노조가 자동차 생태계를 망친 것으로 본다. 자신들은 고임금을 챙기고 2차, 3차 협력업체들을 쥐어짜 결국 모두 망가지는 길로 들어선 것 아닌지 의심이 들 정도"라며 "이러다 보니 기술 개발에 뒤쳐졌다. 생산성을 고려하지 않는 대기업 노조의 이기주의만 아니었으면, 자동차산업이 이렇게까지 어려워지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한국 자동차산업의 고질적인 '1고 3저'(고비용, 저생산, 저효율, 저수익) 구조의 늪에 빠져 위기는 이미 예견됐다.


또한 전문가들은 경착륙한 '최저임금'과 '주 52시간', '법인세 인상'의 영향도 크다고 지적했다.


대림대학교 김필수 자동차학과 교수는 "위가 무너지면 전체가 무너지는 한국 자동차산업에서 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현재 정책 자체가 (기업들에) 악조건이 누적되면서 경착륙했기 때문에 기업에 충격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위기가 국내 자동차 산업의 바닥이 아니다"며 "빠른 시기에 반등할 가능성이 낮아 심각한 상황이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자동차 산업이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은 현장에선 피부로 느끼고 있다"면서 "정부 지원이 뒤늦은 감은 있지만 앞으로 나아질 기미가 없어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