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서울에서 6억원을 초과한 고가 아파트가 13년 만에 5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종부세가 첫 도입된 시기는 노무현 정부 때인 2005년, 당시 서울에서 6억원을 초과하는 아파트는 전체 118만7792가구 중 6만6841가구(5.63%)로 집계됐다.
2005년 서울이 6억원을 초과한 고가 아파트는 전체 118만 7792가구 가운데 6.63%(5.63%)였다. 사실상 고가 아파트가 드문 시기다.
하지만 현재 서울의 13개구의 호당 평균가격은 6억원을 넘을 뿐만 아니라 서울 전체의 호당 평균 가격이 7억7000만원에 이른다. 게다가 현재는 경기도 과천(10.6억)과 성남(6.9억)도 호당 평균가격이 6억원을 넘어섰다.
주택에 대한 보유세 개편 방향은 크게 3가지다. 공정시장가액비율은 연 5%p씩 90%까지 인상, 과표 6억원초과 세율은 0.1~0.5%p 인상, 3주택 이상자는 0.3%p 추가과세 등이다.
정부 개편안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27만4000명의 세금 부담이 1521억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단순 계산하면 1인 당 평균 55만원 가량 세금이 증가하는 수준으로, 시장의 우려감은 생각보다 크지 않은 분위기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공시가격의 시세반영 비율이 높아질 경우 3주택 이상의 다주택자 뿐만 아니라 2주택 이하의 고가주택 소유자도 장기 보유에 대한 심리적 압박이 커질 것"이라며 "종부세 개편 효과는 ‘똘똘한 한 채’로 시장 트렌드가 심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