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장형익 기자] 1980년 5월 18일, 그날 광주에서 태어난 김소형(37)씨는 태어나자마자 아버지를 잃었다. 전남 완도 수협에서 근무하다 딸이 태어났다는 소식에 들뜬 마음으로 광주로 왔다가 아버지가 계엄군의 의해 목숨을 잃은 것이다.
해마다 슬픈 생일을 맞이하고 있는 김씨는 18일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행사에 참석해 아버지와 희생자들을 기리는 편지를 낭독하면서 한없이 서럽게 울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5·18 희생자들을 위로하는 연설 때부터 이미 눈시울이 붉어진 유족들은 김씨의 편지 낭독에 기어코 울컥하고야 말았다. 장내 곳곳은 금세 울음바다가 됐다.
문 대통령도 김씨를 애잔한 눈빛으로 바라보다가 끝내 눈물을 훔쳤다.
아버지의 죽음이 헛되지 않았다는 것을 깨달았다며 편지 낭독을 마치고 단상에서 내려온 김씨를 향해 문 대통령은 큰 걸음으로 성큼 다가갔다.
김씨는 이런 사실을 모르고 퇴장하려다 행사요원에 의해 뒤를 돌아봤고, 문 대통령은 두 팔을 벌려 김씨를 마치 어버이처럼 따뜻이 감싸 안았다. 김씨는 한동안 문 대통령의 어깨에서 흐느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