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지난 6일 '최순실 국정농단' 국회청문회에 참석했을 당시의 SK그룹 최태원 회장(붉은색 원) ⓒ데일리매거진
[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교도소 수감과 이혼소동 등 각종 사건으로 시끄럽던 SK그룹 최태원 회장이 이번에는 박근혜 대통령과의 독대로 관세청으로부터 면세점 신설 계획이 전면 수정됐고 면세점에 선정됐다는 언론 보도가 나와 공분을 사고 있다.
지난 14일 JTBC 보도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비선실세' 최순실(60ㆍ구속기소)씨가 주도해 만든 재단에 기업 지원금을 모아주기 위해 기업들에 대가성으로 면세점 문제를 해결해줬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한 JTBC는 검찰의 발표를 인용해 지난 2월 16일 박 대통령과 SK 최 회장이 독대를 한 데 이어, 당일 저녁 6시쯤 안종범 당시 경제수석이 최태원 SK 회장과 전화통화를 했다고 전하면서 정권 실세와의 밀약적 특혜 의혹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이같은 정권실세와의 밀약적 특혜 속에는 지난해 면세점 심사에서 탈락한 롯데와 SK가 면세점 사업자 선정과 관련 한 검찰의 압수수색의 배경에 국민들의 관심이 쏠린 바 있다. 당시 검찰은 두 그룹이 미르ㆍK스포츠재단 출연한 자금과 면세점 특허 추가 사이에 연관이 있는지 들여다보고 있다.
이 재단들은 현재 국정농단 의혹의 중심에 있는 최순실 씨가 배후에서 주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지난 2월의 박 대통령과 SK 최 회장 독대 이후 상황이 달라졌고 3월 면세점 신설 추가 방안 발표에 이어 4월에는 신규 면세점 4곳을 추가하는 방침까지 발표해 SK 등 대기업 3곳이 포함되기도 했다.
이는 선정 당시의 심사가 적절한 심사로 보기에 석연치 않은 점으로 꼽는 것은 이무렵 SK측은 최순실의 미르ㆍK스포츠 재단에 총 11억원을 출연했고 이 후 면세점 선정이 이뤄 졌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데일리매거진'과의 통화에서 SK측 관계자 양 모씨는 "대통령 독대 이전부터 실업문제, 기업들의 투자 위축 등 제도 개선에 대한 여론이 높아 정부도 면세점 개선 TF를 만들었고, 독대자리에서 면세점 관련 청탁이 있었다면, 이후 K스포츠 재단이 요청한 80억 추가 출연을 거절할 이유가 없다."고 적극 해명했다.
이에 검찰측도 SK측으로 부터 최순실의 미르ㆍK스포츠 재단에 11억원대의 대가를 지불하고 박 대통령이 면세점 사업권 문제를 해결 해 준 것이 아니냐는 합리적 의심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내용이 사실이라면 대통령의 '뇌물 혐의'가 성립 될 것으로 보여 귀추가 주목된다. 또 연말에 예정돼 있던 면세점 사업자 심사도 연기되거나 아예 무산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면세점을 특허를 획득한 두산의 경우에도 당시 두산그룹 회장이었던 박용만 두산인프라코어 회장이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맡는 등 박근혜 대통령과 친분이 두텁다는 의혹도 함께 제기 되기도 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