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청문회)' 1차가 6일 총수 청문회로 대기업 회장 9명이 나란히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했다.
그동안 검찰수사를 통해 어느 정도 진척이 이루어진 문화체육계 국정농단과는 달리 기업들의 대가성 뇌물 여부와 진상 규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특히 롯데그룹이 세무조사 전 돌려 받았다는 70억 원(75억(?))의 성격과 배경 최순실 라인과의 연루설, 삼성과 국민연금과 최순실 사이의 의혹에 대해서는 아직 본격적인 성과가 나오지 않았다.
국회는 6일 열린 청문회에서 절차와 규정을 무시하고 국민의 노후자금인 국민연금에 2조여원의 손해를 가져온 연금공단의 배임행위에 대해서도 보다 강도 높게 추궁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의원들의 질문에 요리조리 피해 나가는 대기업 회장들 이들 중 의원들의 질문이 집중된 이재용 부회장의 1차 청문회를 바라보는 국민은 실망감이 더욱 크다고 할수 있다.
절차와 규정을 무시한 롯데그룹이 세무조사 전 돌려 받았다는 70억 원과 국민연금의 삼성 편들기 그리고 최순실 사이의 유착관계의 진실은 꼭 밝혀져야 한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을 수사할 박영수 특별검사와 윤석열 수사팀은 최순실, 차은택, 김종이 미르·K스포츠 재단을 중심으로 자행한 문화체육계 부정부패와 비리에 대해서, 롯데그룹이 세무조사 전 돌려 받았다는 70억 원 그리고 삼성물산의 합병과정에서 드러난 국민연금의 이해할 수 없는 배임행위에 관한 진상이 확실하게 규명해야 할 것이다.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6일 검찰로부터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수사기록 사본을 넘겨받아 검토 작업에 들어가면서 이번사건이 한점 의혹이 없도록 진실을 밝히는데 노력해 주기를 국민들은 기대한다.
아울러 특검의 첫 시작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철저한 대면조사여야 한다. 또한 김기춘, 우병우에 대해서도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해야 한다.
특검은 박근혜 대통령, 김기춘 전 실장, 우병우 전 수석에 대해서도 철저한 수사로 법치국가로서 대한민국의 질서를 회복 할 책임이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