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전문대학 졸업생 분석표본 요약 통계 [제공/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실태를 분석한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대학 졸업 후 노동시장으로 진입하는 기간이 짧으며 전공별 미취업은 인문사회계열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30일 ‘The HRD Review 26권 2호 조사·통계 브리프(대졸자 노동시장 이행 기간과 첫 일자리)’를 통해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 이 결과는 최근 5개년(2017~2021년)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중 매년 5월 실시하는 청년층 부가조사 자료의 만 15~34세 청년층 중 전문대학 졸업자(총표본수 3206명) 및 4년제 대학 졸업자(총표본수 7717명)를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다.
주요 분석 결과(조사·통계브리프 참조)는 다음과 같다.
성별로 비교하면 여성이 남성보다 대학 졸업 후 노동시장으로 진입하는 시간이 전반적으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간 구직 기간의 차이를 다시 학력별로 세분하면 4년제 대학 졸업자가 전문대학 졸업생보다 남녀 간 차이가 더 작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대학 졸업 여성의 취업 확률은 졸업 후 3개월 이내(50.4%), 6개월 이내(58.1%), 12개월 이내(71.2%), 24개월 이내(85.8%)로 나타나, 전문대학 졸업 남성[3개월 이내(38.9%), 6개월 이내(45.8%), 12개월 이내(61.9%), 24개월 이내(76.4%)]보다 항상 높은 비율을 유지했다.
4년제 대학 졸업 여성의 취업 확률은 3개월 이내(36.2%), 6개월 이내(44.8%), 12개월 이내(61.7%), 24개월 이내(79.1%)로 나타나, 4년제 대학 졸업 남성(3개월 이내(31.4%), 6개월 이내(39.2%), 12개월 이내(56.3%), 24개월 이내(73.6%))보다 항상 높으나, 남녀 간 구직 기간 차이는 전문대학 졸업생보다는 낮았다.
대학 졸업생들이 양질의 일자리(정규직·고임금·전공일치)로의 취업 여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분석됐다.
![]() |
▲ 사진=4년제 대학 졸업생 분석표본 요약 통계 [제공/한국직업능력연구원]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