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쌀 소비 트렌드' 4개년 정보량 및 쌀 도매가 추이 [제공/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하 농정원)이 쌀 소비 트렌드를 주제로 온라인 언급량과 키워드를 분석한 ‘FATI(Farm Trend&Issue)’ 보고서 13호를 발표했다.
이번 분석은 쌀 소비에 대한 국민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됐으며, 최근 4년간(2020~2023) 온라인에 게시된 350만건 이상 데이터를 활용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쌀 소비 촉진과 쌀 가격 안정화를 위한 가루쌀 산업 활성화 정책, 천원의 아침밥 사업 등 정부의 다양한 노력이 효과를 거두며 온라인 정보량 역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7월 쌀 도매가가 ㎏당 2955원까지 크게 오르며 정점을 찍은 뒤 2022년 10월까지 가격 하락이 이어졌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전략작물직불제도, 가루쌀 산업 활성화 대책 등이 발표되며 온라인 언급량은 2022년 11월 9만8667건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후 쌀 소비량 감소세에 제동이 걸리며 쌀 가격은 안정세에 들어섰다.
또 쌀 가격 상승·하락과 관계없이 대다수 국민은 식량안보 차원에서 쌀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쌀 소비를 확대해야 한다는 점에도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쌀 가격 상승기(2020년 1월~2021년 7월)에도 쌀 가격이 오르는 것은 수용할 만하다는 의견 등 긍정 여론이 48%로 나타났다.
쌀 가격 하락기(2021년 8월~2022년 10월)에는 식량안보 차원에서 쌀 가공품 소비와 대체작물 재배를 장려해 쌀 가격을 정상화야 한다는 의견이 43%로 집계됐다.
쌀 가격이 안정세(2022년 11월~현재)에 접어든 최근에는 ‘천원의 아침밥’과 같은 정부 사업을 지지하고, 가루 쌀 산업 활성화를 기대한다는 긍정 의견들이 73% 게재됐다.
▲ '쌀 소비 트렌드' 관련 시기별 여론 반응 [제공/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