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23일 오전 서울 빗썸 강남고객센터 모니터에 비트코인 시세가 표시되고 있다. 이 거래소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이날 오전 7시 54분께 5천790만원까지 떨어졌다. [제공/연합뉴스] |
이같은 비트코인 폭락세에 '묻지마 투자 광풍' 분위기에 휩쓸려 들어갔다가 낭패를 본 사람들은 직장인과 주부, 대학생도 예외가 아니었다. 며칠만에 투자금이 반토막난 상황에서 정신적 패닉상황에 빠진 이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가상화폐 가격이 폭락되는 가운데 코인에 투자한 1천만원 중 남은 돈은 겨우 200만∼300만원에 불과하기 때문으로 '대박'을 꿈꿨던 투자자들은 '쪽박'에 벼락 거지로 전락한 피해가 이어지고있다.
![]() |
▲사진=가상화폐 비트코인 |
최근 비트코인에 투자를 했던 A씨는 "한 푼 두 푼 모은 월급의 일부를 넣어 수익을 좀 냈는데 며칠 전부터 코인이 급락하기 시작했다"며 "떨어지는 그래프를 보며 내 인생도 나락으로 추락하는 기분"이라고 토로하기도 했다.
또 다른 B씨는 주변에서 가상화폐 투자로 큰 수익을 낸 사람이 있다는 말을 듣고 일주일 전쯤 가상화폐를 100만원어치를 샀다가 23일 오전 현재 수익률 마이너스 22.2%로 손해를 봤다고 전하기도 했다.
이들 모두는 투자를 시작할 때는 투자금의 몇 배, 몇십 배로 불릴 수도 있다는 기대에 부풀었으나 매수 직후부터 귀신같이 가격이 내려간 가상화폐는 정부 관계자의 거래소 폐쇄 발언으로 끝모를 하락의 곤두박질오 치닫고 있다.
B씨는 "막차라도 타려고 했는데, 규제한다고 하니 앞서 투자한 사람들만 이익을 봤다는 생각에 허탈한 마음이 든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도 실패한 이들이 있으면 성공한 투자자도 있기 마련으로 암호화폐에 입문한 지 2개월밖에 안 됐다는 ㅈ 씨도 '쉽게 돈을 벌었다'는 주변 사람들의 무용담에 현혹돼 무작정 비트코인을 시작했다. 가상화폐별 특성이나 가치 공부는 필요 없었다. 등락 그래프만 잘 보고 특정 코인을 잠깐 샀다 팔았더니 순식간에 투자금이 2배로 불어나 있었다는 성공담도 있었다. 그러나 ㅈ 씨는 최근 이름 모를 코인에 투자했다 가격이 30% 넘게 급락하면서 누적수익률이 마이너스가 됐다며 한 언론에 털어놓기도 했다.
또 그는 "가상화폐 가치가 어떻게 측정되는지 모르고 투자금이 2배 이상 불어나는 것에 눈이 뒤집혔다"며 후회를 하기도 했다고 신문은 전하기도 했다.
가상화폐 투자자들이 모인 사회관계망 서비스(SNS) 단체 채팅방도 열기가 뜨겁다. 정부 관계자의 최근 규제발언 등에 대해 '일시적인 조정이다'는 낙관론과 '2018년 폭락의 재현이다'라는 비관론이 팽팽하게 맞선다.
'XX코인 구조대(폭락한 가격이 구매 당시 수준으로 회복)는 반드시 온다', '코인 거래 애플리케이션을 지우고 버틴다'는 투자자들이 있는가 하면 투자금 대부분을 '손절'한 이들은 "한강 물 온도가 어떠냐"며 자조한다.
▲사진=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지난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제공/연합뉴스] |
이같은 가상화폐 열풍이 계속 되고 시장이 과열됨에 따라 각국 정부 기관과 관련 전문가들은 연일 경고의 목소리를 내왔다.
가상화폐 투자자들에게 가장 충격적이었던 정부관계자의 발언은 은성수 금융위원장의 발언으로 지난 22일 "가상자산에 투자한 이들까지 정부에서 다 보호할 수는 없다"며 가상화폐는 내재가치가 없는 "인정할 수 없는 화폐"라고 규정했으며, 오는 9월 가상화폐거래소가 대거 폐쇄될 수 있다고도 경고했던 것이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이러한 경고를 귀담아 듣고 수용하기 보다는 오히려 반발하는 분위기다. 특히 근로 소득만으로는 집 한 채 마련하기도 힘든 20·30세대는 "왜 정부에서 나서 돈을 못 벌게 하냐"며 분통을 터뜨린다.
이같은 가상화폐 투자자들의 불만에는 내재가치는 인정하지 않지만, 세금은 부과하겠다는 정부의 모순적 태도에서 불만이 더욱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 된다.
한편 민주당 노웅래 의원은 “미국에서는 암호화폐 거래소가 나스닥에 상장됐고, 테슬라와 위워크 등 세계적 기업들이 앞다퉈 가상화폐를 결제 수단으로 삼는 마당에 이를 미래 먹거리로 활용을 할 생각은 안 하고, 단지 투기 수단으로만 폄훼하고 규제하려는 것은 기존 금융권의 기득권 지키기이며, ‘21세기 판 쇄국정책’이라 할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노 의원은 2018년 가상화폐 규제를 강화해 ‘박상기의 난’이라고 오명까지 뒤집어 쓴 박상기 전 법무부 장관의 일화를 떠올리면서 “부디 정부가 2018년의 우를 범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은성수 금융위원장발언에 대해 경고를 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