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1인당 문화예술 4회 관람, 7만4000원 지출'…코로나19 발생 이전 대비 40% 줄어

송하훈 기자 / 기사승인 : 2021-05-24 16:26:18
  • -
  • +
  • 인쇄
서울에 거주, 5000명과 문화관심 집단 1413명 등 총 6413명 응답에 참여
코로나 시대, 늘어난 여가시간·위축된 문화예술 관람
▲ 사진=2020 서울시민 문화향유 실태조사 [제공/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재단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가 문화예술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2020년 서울시민 문화향유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서울시민의 문화 활동 수준과 동향을 파악한 문화정책의 기초 자료로 이번 조사는 2021년 1월 11일부터 2월 10일까지 진행됐으며,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5000명과 문화관심 집단(서울시 누리집 통합회원, 서울문화재단 누리집 회원)인 1413명 등 총 6413명이 응답에 참여했다.

특히 이번 조사는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대체 관람 경험 및 만족도 △코로나19 발생 이후 문화시설 이용 경험과 향후 이용 의향 △문화예술 활동 동기 및 장애물 등 시의성을 반영한 문항을 추가했다. 설문영역은 △여가활동 실태 △문화예술 관람 경험 및 만족도 △문화예술 참여 경험 및 만족도 △코로나19와 문화예술 활동 △문화예술 활동 경험과 인식 △문화환경 만족도 등 6개로 구성됐다.

 

 

▲온라인 문화예술 참여 경험률 [제공/서울문화재단] 

 


조사결과에서 1년간 서울시민은 문화예술을 대략 4회 정도 관람했고, 관람비로는 평균 7만4000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도와 비교했을 때 코로나19로 인해 문화관람 비용과 횟수가 40% 감소됐으며, 특히 60대 이상 시니어 계층에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문화재단은 이번 조사결과를 통해 △달라진 일상 △오프라인 고유성 △온라인 가능성 등 3가지 키워드로 분석했다.

지난해 서울시민의 하루 평균 여가시간은 평일엔 3.6시간, 주말엔 6.5시간으로 2018년도 대비 각각 0.4시간, 0.5시간 증가했다. 여가시간의 증가는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에 따른 통근 시간 감소, 집단 활동 축소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여가시간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연평균 총 문화예술 관람횟수는 4.2회이며 관람비용은 7만4000원에 그쳤다. 이는 2018년에 비해 각각 2.6회, 4.6만원이 줄었는데, 코로나19가 길어지면서 문화예술 관람활동도 위축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60대 이상의 시니어 계층에서는 총 관람 횟수와 비용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코로나19로 인해 영향을 받았다고 보인다.

위축된 문화예술 경험만큼 문화예술 활동과 관련한 정서적 경험을 묻는 설문영역에서도 긍정적인 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이전보다 크게 감소했다. 제한된 문화예술 관람 환경이 시민들에게 정서적으로 타격을 주고 코로나 우울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화관심 집단의 경우 문화예술 활동 만족도(26.6%)와 행복 정도(6.4점)가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에 비해 각 10.8%, 0.4점 감소했다. 1년간 문화예술 관람활동에 불만족스러웠던 사람들은 ‘코로나19로 인한 제한적인 상황’을 가장 큰 불만족의 원인으로 꼽았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될수록 비대면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프로그램이 확대됐지만, 오프라인을 대체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대체 관람 경험이 있는 시민들에게 ‘온라인 대체 관람과 문화시설/공간 방문 관람 경험의 차이’를 묻는 질문에 시민의 70.6%가 차이가 있다고 응답했다.

 

▲문화예술 관람 경험 횟수 및 총 비용 [제공/서울문화재단] 

특히 문화시설이나 공간을 많이 방문할수록 오프라인과 온라인 관람 활동에 더욱 큰 차이를 느끼는 것으로 확인됐다. 오프라인/온라인 관람 활동에 차이가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오프라인 관람 횟수가 10회 이상인 사람들의 75.2% △2~9회의 경우 72.3% △2회 미만의 경우 64.1%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문화시설 이용 경험이 한 번이라도 있는 사람들은 52%였으며 이 중 72.3%는 방역 지침 준수한 시설을 다시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코로나19 이후 문화활동 변화로 인한 정서적 경험을 묻는 질문에 많은 시민이 ‘문화시설을 방문하지 못해 답답함을 느꼈다’(72.8%), ‘나에게 문화활동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됐다’(69.5%), ‘문화시설에서 하는 활동의 가치나 장점을 느끼게 됐다’(69.3%)라고 응답했다. 연이은 문화시설의 휴관과 폐쇄 등에 의해 문화활동의 중요성을 느낀 것으로 해석된다.

오프라인 문화예술이 가진 현장성을 대체할 수는 없지만 온라인 문화예술의 가능성은 발견할 수 있었다. 극장, 공연장 등 오프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대체된 콘텐츠를 관람한 경험을 묻는 질문에서 시민 중 39.7%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크게 위축된 공연분야인 대중(16.3%), 음악(13.7%), 연극(10.8%)에서 경험률이 높게 나타났다.

온라인 대체 문화관람 활동을 경험한 사람들의 절반 정도가 해당 경험에 만족했으며, 조사에 참여한 시민들의 64%가 향후 온라인 대체 문화관람 활동에 관한 참여 의향을 묻는 질문에서 긍정적으로 답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