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데일리-경제만평=5G가 실내에서 안터지는 이유?…실외 기지국이 94%인 반면 실내용 중계기는 6% ⓒ데일리매거진 |
이동통신사가 구축한 5세대(5G) 이동통신 무선국 가운데 실내용 중계기 비중은 6%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신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신고 기준 이통 3사 5G 무선국 46만대 가운데 기지국은 43만대(94%), 중계기는 3만대로 집계됐다.
기지국은 주로 건물 외벽이나 옥상에 설치돼 실외 지역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비다. 중계기는 기지국에서 발사한 전파가 닿을 수 없는 실내 음영지역 품질을 개선하는 데 주로 쓰인다.
LTE의 경우 전체 무선국 231만대 가운데 기지국은 155만대(67%)였고, 중계기는 76만대(33%)였다.
지난해 말 과기정통부의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에 따르면 5G 서비스의 실외 커버리지는 전년 대비 252.1% 증가했지만, 다중이용시설과 인빌딩(실내) 커버리지는 각각 58.3%와 38.4% 증가에 머물렀다.
업계는 이통사들이 실외에 비해 품질이나 커버리지 비교가 어려운 실내는 투자에 신경을 쓰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통신 3사가 공개하는 5G 서비스 커버리지 지도도 실내는 빼고 실외만 대상으로 하고 있다.
정부 역시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통신서비스 품질평가를 할 때 사전에 정한 주요 시설 4천500여개만 대상으로 해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이처럼 치우친 투자로 인해 5G 상용화에 따른 수혜를 대기업만 독식한다는 우려도 나온다.
기지국은 삼성전자, 에릭슨, 노키아, 화웨이 등 글로벌 대기업이 만드는 반면, 중계기는 국내 중소 장비사들이 제작하기 때문이다.
국내 대표적인 중계기 제조사 HFR의 국내 매출은 2019년 1천183억원에서 2021년 550억원으로 급감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통신 품질 제고와 투자 촉진을 위해 지난해 12월 5G 주파수 추가 할당을 결정했지만 업계 갈등으로 계획이 늦춰지고 있다.
설비 투자액과 마케팅 비용의 감소세에 힘입어 통신사들의 실적은 날로 개선되고 있다.
통신 3사는 지난해 합산 영업이익이 4조원을 넘기는 역대급 호실적을 거둔 반면 설비투자액은 재작년 8조2천720억원에서 지난해 8조2천50억원으로 0.8% 줄였다.
업계 관계자는 "5G 서비스가 상용화 4년차를 맞았는데도 품질 문제는 여전한데 설비 투자는 감소하는 추세"라며 "정부가 주파수 할당을 비롯해 가능한 정책 수단을 동원하지 않을 경우 소비자 권익과 경기 활성화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러스트=김진호 화백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