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부가 마스크 대란을 잠재우기 위해 특단의 대책을 내놓았다. |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2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마스크 수급 안정 추가조치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을 확정 발표했다. 정부는 전날 마스크 일일 생산량의 50% 이상을 공적 판매처에 출고하도록 하는 내용의 긴급수급조정조치 개정을 통해 하루 500만장을 공적 판매처에 출고하도록 했다.
현재 시중의 상황은 약국 등에서 마스크 구경하기가 어려워졌고 살 수 있어도 한 장에 6000원 이상을 부르는 등 고가 폭리를 취하는 바람에 시민들이 이중고 삼중고를 겪어 왔다.
이 때문에 정부는 강력한 관리 감독을 하기로 하고 우선 긴급 물량부터 공급하기로 한 것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공적 판매처 출고분 가운데 240만장은 전국 2만4000여 곳 약국에 100장씩 공급하며, 110만장은 읍면지역 우체국 1400곳과 서울·경기 외 지역 농협 1900곳에 우선 공급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이밖에도 의료기관과 대구 의사회에는 하루 50만장씩 공급하고 대구·경북 지역에는 하루 100만장씩 총 500만장을 추가 공급한다. 이를 통해 대구·경북에 마스크 총 1000만장을 공급할 계획이다. 잔여 마스크는 추후 공영홈쇼핑 등 온라인을 통해 판매된다.
한편 정부는 공적 판매처의 마스크 가격을 생산원가와 배송비를 합쳐 합리적인 수준으로 권고하고, 1인당 구입 가능 수량을 5매로 제한한다.
이로써 마스크 판매는 이르면 27일 오후부터, 늦어도 28일부터는 본격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한편 정부는 주기적으로 마스크 수급 안정 추가조치 TF를 열어 마스크 판매가격과 판매 수량은 물론 수출제한조치 이행 등을 점검할 계획이다.
한편 의료계에서는 보다 강력한 법집행을 통해 매점매석하는 중간 상인들을 철저히 단속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