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1대 국회 의원 순위 그룹별 가결 및 반영 법안 비중 [제공/스트래티지앤리서치인터내쇼널] |
21대 국회 개원 후 접수된 법안 관련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스트래티지앤리서치에 따르면, 21대 국회 개원 후 16개월간 접수된 법안 수는 총 1만2413건이며, 그중에 처리된 법안은 약 25%이고 다른 비슷한 법안과 병합 심사 후 대안 반영 폐기된 법안은 약 15%로 나타났다.
이들 법안에 대한 최근 분석 결과에 따르면, 현재 누적 가결-반영률은 23.4%로 2021년 2분기 이후 증가 폭이 감소하고 있으며, 대안 반영 폐기 법안을 제외한 법안의 누적 가결률(8.5%)과 큰 차이를 보인다.
정책 분야별 가결-반영 법안 수는 산업경제(654건), 보건복지(532건), 부동산(316건), 공공개혁(293건) 등의 순이며, 20년 4분기 정기 국회 이후 산업경제, 사회안전, 부동산, 노동 분야의 가결-반영 법안 수가 줄어들었다.
특히 의원 발의 입법 성과가 소수 의원 그룹에 집중되고, 상-하위 그룹 간 격차가 지속하는 가운데 부동산과 사회안전 분야에서 상위 1-75위 의원그룹의 가결-반영 법안 수와 비중은 크게 감소했다.
법안 가결 반영률에서 높은 입법 성과를 보인 정책 분야는 보건복지, 산업경제, 부동산, 노동, 공공개혁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정책 분야 간 연계성 측면에서는 공공개혁과 부동산 분야 간 상관도가 다른 정책 분야들에 비해 크게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법안 내용에 대한 AI 분석을 수행한 스트래티지앤리서치(SNR) 담당자는 “경제-사회적 갈등이 복합화하며, 관련 정책 및 법률 간 유기적 연계가 중요하다”며 “부동산 비리 개혁, 공공 수요-공급 다각화, 공정한 민간 참여 여건 조성 등 관련 쟁점에 대한 상호 연계가 필요한 부분이 정책 입법에 충분히 반영되고 있는지에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종합적으로 보면, 21대 국회의 정책 입법에서 정당 정책 중요도와 정책 여론 중요도를 통합한 정책 중요도가 높은 분야는 보건복지, 부동산, 사회안전, 노동 등의 순이었다. 반면, 산업경제 분야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법안을 다수 포함해 실제 평균 중요도는 낮게 평가됐다.
![]() |
▲ 21대 국회 정책 분야 법안 상관도 [제공/스트래티지앤리서치인터내쇼널]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